영화인들이 영화진흥위원회의 <독립영화전용관 운영지원 사업의 개편> 방향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했다. 이들은 "그 동안의 성과를 단절시키고 후퇴시키는 이번 독립영화전용관운영지원 사업 개정을 철회하고 더 많은 독립영화전용관이 설립, 운영될 수 있도록 개편되기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영진위가 독립영화전용관 운영지원 사업 개편을 공표했다. 개편 방향은 ‘지역 독립영화문화 균형 발전을 위한 지역 독립영화전용관 신설’이다. 그런데 개편안에는 지역 독립영화전용관 신설을 위해, 기존 서울 지역 독립영화전용관에 대한 지원을 철회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영진위는 사업계획에서 영진위가 직접 운영하는 인디플러스와 한국영상자료원의 시네마네크 KOFA 2관, 그리고 아직 정해지지 않은 지역 독립영화전용관 1개관을 지원 대상으로 발표했다. 이는 2014년 4개관의 지원에서 3개관의 지원으로 축소하고, 민간 영역에서 독립영화 상영을 위해 오랜 시간 노력해온 독립영화전용관 인디스페이스와 성북문화재단에서 운영하는 아리랑시네센터는 지원 대상에서 제외한 것이다.
이에 독립영화전용관확대를위한시민모임을 비롯한 영화계는 성명을 내고 "지역 독립영화 문화의 균형 발전을 위해 지역독립영화전용관의 신규 지원이 필요하다는데 깊이 공감하지만 지역 독립영화전용관 지원을 위해 기존 독립영화전용관에 대한 지원을 철회하는 것에는 절대 동의할 수 없다"고 밝혔다.
아울러 "인구수 1천여만 명의 서울에 개봉 상영관 3개와 비개봉상영관 1개의 총 4개의 상영관이 있다고 하더라도, 독립영화 배급 활성화와 관객들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기에는 여전히 부족하다"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진위는 지역 독립영화전용관 1개관의 신규 지원을 위해 2곳의 서울 지역 독립영화전용관을 희생시키려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2007년부터 시작된 독립영화전용관 운영지원 사업은 독립영화의 개봉과 상영을 촉진시켜 한국 독립영화의 저변확대에 기여해왔다. 하지만 운영 주체의 불안정성은 반복되는 문제였고, 사업의 장기적 비전 역시 찾아볼 수 없었다"면서 "2015년으로 사업개시 9년 차가 되지만, 여전히 독립영화전용관 운영지원 사업에서 한국 독립영화 유통 확대와 관객 접근성 향상을 위한 사업의 비전은 찾아볼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들이 얘기하는 독립영화전용관 운영지원 사업의 문제는 사업 예산의 비효율적으로 책정과 집행에 근거한다. 2011년 영진위가 직접 독립영화전용관 운영에 참여한 이래, 관련 예산의 75% 이상이 직영 전용관 인디플러스에 집중됐고, 2014년의 경우 총 예산 8억9천4백만 원 중 82%에 해당하는 7억3천2백만 원이 인디플러스에 집행됐다.
이들은 "서울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한 브로드웨이시네마의 1개관을 대관하여 운영하고 있는 인디플러스의 좌석은 70석으로, 2014년 예산을 기준으로 하면 좌석 1석당 1천 3백 2십만 원의 예산이 집행되고 있는 셈"이라며 "아무리 영리를 추구하지 않는 예술영화관이라고는 하지만 70석짜리 1개 영화관에 7억여 원의 예산을 집행하는 것은 적절하지 못하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이들은 "독립영화의 배급과 상영이 여전히 힘겨운 있는 현실에서 독립영화전용관의 지원 축소는 독립영화의 제작과 배급을 심각하게 위축시킬 것이다. 이런 상황임에도 영진위는 문제의 본질을 인식하지 못하고, 독립영화전용관 운영지원 사업의 지원 대상 영화관 수를 축소하는 등 독립영화 진흥을 가로막고 있다"고 밝혔다.
성명에 참여한 단체는 독립영화전용관확대를위한시민모임, 아리랑시네센터, 여성영화인모임, 영상미디어센터 미디액트, 인디포럼 작가회의, 전국영화산업노동조합, 한국독립영화협회, 한국시네마테크협의회, 한국영화감독조합, 한국영화제작가협회, 한국영화촬영감독조합, 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