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면 형제 화재사고를 두고 “엄마는 어디서 뭐 했냐”라는 비난의 목소리가 커지자, 양육의 문제를 더는 여성에게만 맡겨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한부모연합은 23일 입장문을 통해 “우리는 아이를 양육할 수 있는 사회적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가를 살펴봐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합은 “수차례 주민의 신고가 있었지만, 형식적인 절차만 거쳤을 뿐 진심으로 아이들을 걱정하고 돌봐준 기관은 없었다고 하니 아이들의 문제를 가족에게만, 특히 여성에게만 맡기는 안일함의 결과라고 볼 수밖에 없다”라며 “30세 된 젊은 엄마 혼자 1인 생계부양자로서 역할을 감당한다는 게 어떤지는 다 알면서도 엄마니까 책임져야 한다며 방관한 것은 아닌지 우리 사회는 무얼 했는지 분노가 끓어오른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같이 살진 않지만, 아빠도 부모로서 역할을 다해야 할 의무가 있음에도 아무도 책임을 말하지 않는다. 과연 아빠가 부모로서 역할을 해 왔는지, 양육비는 지급했는지 묻고 싶다”라며 “또 우리는 아이들이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는 사회에 살고 있는지 다시 돌아보게 된다”라고 짚었다.
한부모가구는 경제적·시간적 빈곤에 시달려 자녀와 시간을 갖기 어렵다고 연합은 말했다. 2018년 여성가족부가 발표한 한부모가구 실태조사 결과에 의하면, 취업한 부모의 41.2%가 하루 10시간 이상 근무하고 있다. 자녀와 함께 보내는 시간은 초등생의 경우 하루 평균 ‘1~2시간 미만’이 33.3%, 중학생의 경우 ‘30분~1시간 미만’이 29.4%로 나타났다.
연합은 “한부모가구 자녀들은 비대면 온라인수업으로 학습할 경우 챙겨줄 사람이 없는 데다 사교육 기회마저 없으니 학습격차는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라며 “보호자 없는 동안 편의점 음식이나 김밥 등으로 해결해야 하는 저소득 아이들의 건강문제는 심각한 상황”이라고 호소했다.
이어 “돌봄 비용 부담으로 아이들을 집에 두거나, 아예 일을 줄여야 하는 상황까지도 발생하고 있지만, 지난해 한부모가구 자녀 돌봄 비용 44억 원은 한부모가구 복지시설에 집중됐다”라고 비판했다.
연합은 최소한의 생계 보장으로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며 “안전한 돌봄 정책 건강한 식사, 평등한 학습기회 등 충분한 양육조건을 갖추기 위해서는 국가와 사회의 역할이 무엇인지를 깊게 고민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출산율 낮다고 아이를 낳으라니, 아이를 낳으면 잘 키울 수 있는 사회인지를 먼저 돌아봐야 할 것”이라고 일침을 가했다.
강석영 기자
기자를 응원해주세요
기사 잘 보셨나요? 독자님의 작은 응원이 기자에게 큰 힘이 됩니다. 독자님의 후원금은 모두 기자에게 전달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