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미란 구성·연출 '이것은 어쩌면 실패담, 원래 제목은 인투디언노운(미지의 세계로, 엘사 아님)' ⓒ국립극단
국립극단이 1년간의 개발 과정을 거친 여섯 개 공연을 3월 9일부터 5월 1일까지 순차적으로 무대에 올린다.
국립극단이 첫 번째로 선보일 작품은 작품개발사업 '창작공감: 작가'와 '창작공감: 연출'에서 각각 만나볼 수 있는 '밤의 사막 너머'와 '이것은 어쩌면 실패담, 원래 제목은 인투디언노운(미지의 세계로, 엘사 아님)'이다.
'창작공감: 작가' 첫 번째 작품은 신해연 작가가 쓰고, 동이향 연출가가 연출한 '밤의 사막 너머'다. 이 작품은 '보리'라는 옛 친구를 찾아 꿈의 공간으로 먼 길을 떠나는 한 여자의 이야기로, 우울과 공존하는 긴 밤을 그린다.
작품은 오는 3월 9일부터 20일까지 백성희장민호극장에 오른다.
'창작공감: 연출' 첫 번째 작품은 '이것은 어쩌면 실패담, 원래 제목은 인투디언노운(미지의 세계로, 엘사 아님)'이다. 이 작품은 청소년극 '영지', '좋아하고있어', '갈매기B' 등을 연출한 김미란 연출가가 구성과 연출을 맡았다.
농인 배우와 청인 배우가 각각 1명씩 출연하는 이 작품은 각자의 언어인 수어와 구어로 소통하며 농인 배우 박지영에 대한 연극을 함께 만드는 과정을 보여준다.
작품은 3월 9일부터 20일까지 소극장 판에서 선보인다.
신해연 작, 동이향 연출 '밤의 사막 너머' ⓒ국립극단
'창작공감: 작가'와 '창작공감: 연출'은 국립극단 작품개발사업이다. 국립극단은 '창작공감: 작가'를 통해서 김도영·배해률·신해연, '창작공감: 연출'을 통해서 강보름·김미란· 이진엽 등 총 6명의 예술가들의 작품을 선보인다.
앞서 국립극단은 동시대 창작극의 탄생을 위해 1년간 이들 6명에게 창작에 필요한 특강, 리서치, 워크숍, 자문 등을 체계적으로 제공하는 한편 두 차례의 낭독회 및 쇼케이스 형식의 '창작과정공유' 무대를 개최한 바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완성형'으로 관객을 만나게 될 작품은 앞선 두 작품 이외에도 '금조 이야기', '서울 도심의 개천에서도 작은발톱수달이 이따금 목격되곤 합니다', '커뮤니티 대소동', '소극장판-타지' 등이 있다.
김광보 국립극단 예술감독은 "창작극을 꾸준히 개발하고 공연하는 것은 국립극단의 큰 과제 중 하나"라면서 "이를 위해서는 예술가들에게 창작하기 좋은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번 '창작공감: 작가·연출'은 이러한 기조에서 창작극을 개발하기 위해 시작된 사업으로, 긴 시간을 거쳐 만든 본 공연을 통해 동시대 화두를 다루는 다양한 극들이 관객과 성공적으로 만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밤의 사막 너머'과 '이것은 어쩌면 실패담, 원래 제목은 인투디언노운(미지의 세계로, 엘사 아님)'은 국립극단과 인터파크 홈페이지에서 예매할 수 있다. 주말에는 2개 공연을 모두 예약하면 이어서 볼 수 있다. 13일 공연 종료 후에는 각 공연의 작가, 연출, 배우가 참여하는 '예술가와의 대화'가 개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