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측이 ‘대통령실 용산 국방부 청사 이전 여론조사’에서 찬성보다 반대가 높게 나오는 것에 대해 “역대 대통령 후보들이 받았던 득표수 중 당선인이 최다였다”라며 “이는 국민 여러분이 공약을 지켜라, 지킬 수 있다면 헌신하는 자세로 초심을 잃지 말라고 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반대 여론이 찬성보다 높더라도 용산 국방부청사로 집무실 이전을 강행하겠다는 뜻으로 보인다.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은 25일 정례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혔다.
‘용산 집무실 이전 관련 여론조사에서 통상적으로 반대가 과반 이상 나오고 있는데 입장을 말해달라’는 취재인의 요청에, 그는 “김영삼 전 대통령을 포함해 역대 대통령들이 우리의 말을 대신해서 공약으로 반영해 줬다”라며 “제왕적 대통령제, 장벽에 가로막힌 듯 불통으로 국민과 함께하지 못한 부분을 모든 역대 대통령들이 인지하고 있었기에 그 같은 약속을 한 것”이라며 윤 당선인이 대통령 집무실 이전을 추진하는 이유를 설명했다.
특히 그는 역대 대통령이 청와대 이전을 공약하고도 이행하지 못한 이유에 대해 “모든 시선의 중심을 대통령에게 두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는 국민 중심이 아니라 대통령 중심으로 공약 이행을 점검했기 때문에 이행하지 못했다는 말로 풀이된다.
이어 김 대변인은 윤 당선인의 득표수가 역대 대통령 후보 중 가장 많았다고 강조하며, 그 의미를 “공약을 지키라고 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그러면서 “절대 자만하지 않고 국민 곁에서 낮은 곳에서 임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했다.
윤 당선인은 후보 시절 광화문 시대를 열겠다며 청와대 대통령 집무실을 광화문 정부청사로 옮기겠다고 공약한 바 있다. 하지만 공간과 대통령 경호 및 보안 등의 이유로 갑자기 용산 국방부 청사가 유력 후보지로 거론되더니, 지난 20일 윤 당선인은 직접 용산 국방부 청사로 이전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또 윤 당선인은 이날 발표에서 “청와대는 임기 시작인 5월 10일 개방하여 국민께 돌려드리겠다”라고 했다. 취임하는 날 국방부 청사에서 임기를 시작하겠다는 발표였다.
하지만 ‘5월 10일 집무실 이전’으로 국방부 및 합동참모본부가 급하게 연쇄 이동할 경우 안보 공백이 발생할 수 있고, 그 비용이 수천억 원에 이를 수 있다는 우려 등이 쏟아지면서 반대 여론이 형성됐다. 대통령실 이전 자체를 반대한다는 게 아니라, 당장 챙겨야 할 민생 문제도 많은데 굳이 무리해가면서 집무실부터 옮겨야 하느냐는 비판 여론이었다.
여론조사에서도 대통령 집무실 이전에 반대하는 여론이 찬성하는 여론보다 높게 나타났다.
미디어토마토가 19~20일 이틀간 전국 18세 이상 성인남녀 101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윤 당선인이 대통령 집무실을 서울 용산에 있는 국방부 청사로 옮기겠다는 이전 계획에 대해 58.1%가 ‘현 청와대에 대통령 집무실이 있어야 한다’고 답한 반면, “대통령 집무실 이전에 찬성하다”고 답한 이는 33.1%에 그쳤다. 8.7%의 응답자는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무선 ARS 방식, 응답률 7.6%, 표본오차 95% 신뢰수준 ±3.1%p)
또 KBS가 여론조사기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23~24일 이틀 동안 전국 18세 이상 1000명에게 ‘대통령 집무실을 5월 10일 취임에 맞춰 용산 국방부 청사로 이전하겠다는 윤 당선인의 계획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라고 물은 결과 53.8%가 반대한다고 답했다. 찬성한다고 답한 응답자는 40.6%였으며, 5.6%는 모르겠다거나 응답하지 않았다. (유무선 RDD 방식으로 생성한 번호 리스트를 활용한 면접원 전화면접조사, 응답률 13.2%,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3.1%p)
두 여론조사의 자세한 조사개요 및 결과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한편, 윤 당선인의 계획은 청와대가 안보 공백 우려를 이유로 속도조절론을 제기하면서 미뤄졌다. 그렇더라도 윤 당선인은 청와대에 절대 들어가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윤 당선인은 취임 후에도 통의동 대통령직인수위로 통근하며 용산 이전을 준비하겠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