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남북정상회담이열린 27일 오전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경기도 파주 판문점에서 만나 두 손을 잡고 걸어내려오고 있다. ⓒ2018남북정상회담 공동사진기자단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0일과 21일 친서를 교환했다.
조선중앙통신은 22일 아침 보도를 통해 “김정은 동지께서는 지난 4월20일 문재인 대통령이 보내온 친서를 받으시고 4월21일 회답친서를 보내시었다”고 보도했다. 청와대도 “남북 정상은 친서를 교환했다”고 공식 확인했다.
통신은 “북남 수뇌분들께서는 서로가 희망을 안고 진함없는 노력을 기울여나간다면 북남관계가 민족의 염원과 기대에 맞게 개선되고 발전하게 될 것이라는 데 견해를 같이 하시면서 호상 북과 남의 동포들에게 따뜻한 인사를 전하셨다”고 전했다.
김정은 위원장은 “북남 수뇌들이 역사적인 공동선언들을 발표하고 온 민족에게 앞날에 대한 희망을 안겨 준 데 대해 회억(회고하여 기억)하시면서 임기 마지막까지 민족의 대의를 위해 마음써온 문재인 대통령의 고뇌와 노고에 대하여 높이 평가하시었다”고 통신은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문재인 대통령은 그동안 어려운 상황에서도 남북정상들이 손잡고 한반도의 평화와 남북 사이의 협력을 위해 노력해온 데 대해 언급하고, 퇴임 후에도 남북공동선언들이 통일의 밑거름이 되도록 마음을 함께할 의사를 피력했다고 전해졌다.
이번 친서 교환은 퇴임을 앞둔 문 대통령의 친서에 김 위원장이 화답하는 친서를 보내는 식으로 이뤄졌다. 통신은 “북남수뇌분들의 친서교환은 깊은 신뢰심의 표시로 된다”고 의미를 설명했다.
친서 교환이 ‘예우 차원’의 성격이 짙지만 북한이 연이은 미사일 시험발사 등으로 긴장된 한반도 정세 속에서 진행된 것이어서 의미가 있다. 특히 김 위원장은 친서에서 “서로 노력을 기울여나간다면 북남관계가 개선되고 발전하게 될 것”이라고 밝힌 대목이 눈에 띈다.
윤석열 정부가 출범 이후 대북정책의 기조를 어떻게 가져가느냐에 따라 꽤 오랜시간 경색돼 온 남북관계를 풀 ‘가능성’은 열어둔 것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