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6주간 ‘숨은 금융자산’ 1.5조원 주인 찾았다


금융위원회 로고 ⓒ금융위원회

금융위원회는 전 금융권 ‘숨은 금융자산 찾아주기’ 캠페인을 통해 금융소비자가 찾아간 자산이 약 1조5천억원에 달한다고 4일 밝혔다.

금융위에 따르면 지난 4월 11일~5월 20일 6주간 캠페인을 실시한 결과, 255만개 계좌에서 약 1조5천억원의 숨은 자산이 금융 소비자에게 돌아갔다. 지난 2015년 6월 이후 실시한 캠페인과 상시 환급시스템을 통한 환급 규모(3.7조원)의 약 40%에 달하는 수준이다.

이번 캠페인 기간 금융소비자가 찾아간 숨은 자산은 △통상 3년 이상 장기간 거래가 없는 ‘장기미거래 금융자산’ 9,791억원 △법규상 소멸시효가 완성된 ‘휴면금융자산’ 4,963억원 △‘미사용카드포인트’ 219억원이다.

'숨은 금융자신' 환급유형별 실적 ⓒ금융위원회

세부 유형별로 보면 보험금이 7,822억 원(52.2%)으로 가장 많았다. 보험금은 중도보험금, 만기보험금 등이다. 장기미거래 보험금이 대부분(7,216억원)을 차지했다. 다음으로 휴면성증권 4,320억원, 예·적금 2,590억원, 미사용 카드포인트 219억원, 신탁 20억원 등이 환급됐다.

채널별로는 인터넷·모바일에서 9,480억원(63.3%), 영업점·고객센터에서 5,493억원(36.7%) 환급됐다.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금융거래 보편화로 과거 캠페인과 달리 주요 환급 채널이 인터넷·모바일로 변화된 것으로 분석된다.

캠페인 환급 채널별 실적 비교 ⓒ금융위원회

연령별로는 60대 이상 고령층이 45%로 비중이 가장 컸다. 50대 27.6%, 40대 16.1%, 30대 8.2%, 20대 이하 3.1% 순으로 뒤를 이었다. 금융위는 이번 캠페인을 통해 ‘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어카운트인포), ‘오픈뱅킹’ 등 금융자산을 한 번에 조회할 수 있는 시스템 사용법이 홍보돼 고연령층도 시스템 사용에 불편이 없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금융위는 기존 조회 대상인 개인 명의 계좌를 법인 명의로 확대할 방침이다. 전 금융권 계좌 일괄 조회시스템인 ‘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의 잔고 이전 한도 상향을 통해 숨은 금융자산 조회·환급 편의성도 개선한다.

금융위는 금융기관이 숨은 금융자산에 편입이 우려되는 금융자산에 대한 고객 안내 현황을 점검할 예정이다. 안내 체계를 강화하는 방안 등도 검토한다. 금융소비자보호 실태 평가 항목에 휴면 금융자산 환급 실적을 계량 지표로 추가해 금융기관의 자발적인 환급을 유도할 계획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지속적인 캠페인에도 여전히 상당 규모의 숨은 금융자산이 남아있는 만큼, 숨은 금융자산이 금융소비자에게 돌아갈 수 있도록 지속해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