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관저 공사까지 김건희 여사 지인에게 맡기나

김건희 여사가 대표로 있던 코바나컨텐츠와 관련된 업체들이 대통령 관저 공사를 수주했다는 의혹이 불거졌다. 2일 ‘오마이뉴스’는 코바나컨텐츠에 두 차례 후원한 한 업체가 12억 원 규모의 관저 공사 수의계약을 맺었고, 코바나컨텐츠의 전시회를 후원했던 업체에서 근무했던 인물의 배우자가 대표로 있는 다른 업체는 관저 공사의 설계·감리용역을 맡았다고 보도했다. 아무리 세상이 좁다 해도 대통령 주변에 ‘코바나’라는 이름이 너무 자주 들린다.

의혹이 불거진 당일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가 청사 브리핑룸에 나섰지만 별로 해명된 사실이 없다. 이 관계자는 “대통령 관저 건축은 업체 선정이나 진행 상황이 경호처의 철저한 검증과 감독 하에 이뤄지는 보안 업무”라며 “구체적인 내용을 공유할 수 없는 상황이라는 점을 이해해 달라”고 말했다. 해명 못할 보안 사항이라면 애초에 의혹이 될 만한 일을 피해야 했을 일이다. 굳이 보안 사항을 설명하지 않더라도 수많은 업체 중에 뭘 보고 콕 집어 수의계약을 할만큼 특출한 면이 있다면 그 점을 설명하면 될 일이기도 하다.

12억 원 규모의 수의계약을 따낸 이 업체는 공사실적 평가액이 18억 원 내외이고 기술자 4명인 소규모 업체라고 한다. 경호처의 철저한 검증과 감독 하에 이루어져야 하는 중요한 공사를 맡기에 적당해 보이지 않는다. 대통령 관저 공사라면 보안은 물론이고 적어도 수행능력과 안전 관리능력이 충분히 검증된 업체를 찾는 것이 상식적이다. 정말 대통령 관저의 보안성을 높이려면 의혹에 대한 해명 회피에 보안 핑계를 댈 것이 아니라 업체 선정의 기준을 세울 때 보안을 더 고려했어야 한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후원 업체로 이름이 오른 건 감사의 뜻에서 오른 것이지, 그 업체들이 후원을 해서 올린 건 아니다”라고도 했다. 들으면 들을수록 의구심이 커지는 대목이다. 일단 대통령실 관계자의 해명에 따라 확인 된 것은 ‘후원 업체로 이름을 올렸지만 후원을 하지는 않았다’는 점뿐이다. 물론 꼭 돈을 내야만 후원은 아니다. 아무튼 ‘감사의 뜻’으로 전시회 포스터에 이름을 올릴 만한 무언가를 했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대가성에 대한 의혹은 하나도 해소되지 않았다. 후원금을 냈건 아니건 감사 받을 무언가를 했고, 그 대가로 대통령 관저 공사의 일부를 수의계약 했다는 의혹은 여전히 그대로 남는다.

대통령 부인의 사적 인연이 하루가 멀다 하고 공적 영역을 침범해서 의혹이 되는 것은 그 자체로 심각한 일이다. 의혹이 불거졌을 때 수긍할만한 해명을 내놓지 않고 얼버무리는 일이 반복되는 것도 그에 못지않게 심각한 일이다. 대통령 전용기에 민간인을 태우고 외교 무대에 동행한다거나 공식 일정에 ‘지인 수행’이 포착되거나 상상도 못했던 논란을 수시로 일으키면서 해명은 성의가 없다.

취임한지 얼마나 지났다고 하는 일마다 사적 관계가 끼어든다면 앞으로가 더 걱정이다. 국정이 짬짜미라는 말을 듣지 않으려면 이번에 불거진 김 여사 지인의 관저 공사 수주 의혹에 대해서부터 성의 있는 해명을 내놓아야 한다.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