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5회 ‘서울세계무용축제’, 국내·외 34개 작품 소개...9월 개막

전 세계 최정상급 무용단 및 국내 무용단의 무대 만날 기회

HELLO TO EMPTINESS ⓒValeria Isaeva

춤으로 시대를 말하고 시대를 춤으로 보여주는 '서울세계무용축제'가 다양한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제25회 서울세계무용축제(SIDance2022, 이하 시댄스)는 오는 9월 14일부터 10월 2일까지 서울 시내 주요 공연장에서 춤의 향연을 펼친다.

올해 축제에서는 위드코로나 3년 만에 한국 포함 9개 국가 참가, 국내·외 오프라인 공연 34개 작품을 소개한다.

프로그램은 ▲제25회 기념특집 ▲이스라엘 포커스 ▲해외초청 ▲국내초청 ▲기획제작 등으로 구성돼 있다.

시댄스 측은 올해 25주년을 맞이해 특별한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바로 제25회 기념특집 '춤에게 바치는 춤들' 프로그램이다.

해당 프로그램은 콘셉추얼 댄스와 융복합 장르의 지나친 유행으로 인해 갈수록 희미해져 가는 '춤의 본질'을 되찾고자 하는 의도로 기획됐다.

시댄스 이종호 예술감독은 "그동안 한국 무용계가 컨셉추얼 댄스, 다원, 융복합예술이 마치 전부인 듯 유행처럼 흘러가 춤의 본질에서 멀어지는 듯했다"면서 "이에 몸의 본질과 춤적인 춤을 되살리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밝혔다.

'춤에게 바치는 춤들' 프로그램에서 만날 수 있는 작품들은 아트프로젝트보라의 '유령들', 독일 무부아르 무용단(MOUVOIR)의 'Hello to Emptiness', 포르투갈 조나스&란더(JONAS&LANDER)의 '바트 파두(BATE FADO)', 김미애의 '여 [女] 음', 무용역사기록학회의 'Reconnect History, Here I am' 등 총 5개 작품이다.

BATE FADO ⓒJosé Caldeira

한-이스라엘 수교 60주년을 맞아 기획된 '이스라엘 포커스'에선 솔 댄스 컴퍼니(SOL Dance Company)의 'TOML(Time of My Life)', 휴먼 필즈(Human Fields)의 'Place to be', 샤하르 비냐미니(Shahar Binyamini)의 'Evolve' 등의 무대가 펼쳐진다.

해외초청 프로그램에선 네덜란드의 최고 인기 무용단인 클럽 가이&로니(Club Guy & Roni)의 'Freedom'을 볼 수 있다. 덴마크의 메테 잉바르첸(Mette Ingvartsen)의 'to come(extended)', 키프로스 에비에 데메트리우(Evie Demetriou)의 'Genes and Tonic', 룩셈부르크 질 크로비지에(Jill Crovisier)의 'The Hidden Garden'이 무대에 오른다.

시댄스 측은 국내의 다양한 무용단도 초청했다. 우보만리의 '노동(勞動)', 파란코끼리(재독 안무가 전인정)의 '진동축하', 윤푸름 프로젝트그룹의 '정지되어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육미영의 '...잃었다...', 김윤정의 '인터뷰 1.5(Inter-View1.5)', 전통춤 유파전의 '김백봉부채춤보존회' 무대가 준비돼 있다.

기획제작 작품으론 작년에 이어 '명무에서 신명무' 2탄이 관객을 만난다.

또한, 김춘희 '향발무', 임성옥 '살풀이춤-홀연', 이주연 '녹수청산(산조춤)', 노현식 '현학무', 김충한 '소고무', 양승미 '진쇠춤', 장유경 '선살풀이춤', 정은혜 '학춤' 등 전통무용의 다양한 매력을 선보인다.

포럼, 워크숍, 오디션, 토크쇼 등 다양한 부대행사도 마련된다.

축제는 예술의전당 CJ토월극장/자유소극장, 서강대학교 메리홀, 서울남산국악당, 문화비축기지 등에서 열린다.

1998년 제13차 CID-UNESCO 세계총회 서울 유치를 계기로 탄생한 '서울세계무용축제'는 지난 25년간 아시아와 유럽뿐만 아니라 아프리카와 중남미 등을 포함한 외국 417개, 국내 538개 단체 및 무용예술가들의 다양한 공연을 선보였다.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