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 3개 이상 금융회사에서 대출받은 다중채무자 비중이 관련 통계 집계 시작(2012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15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윤창현 국민의힘(비례) 의원이 한국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 1분기 말 가계대출 차주 중 다중채무자는 22.4%를 기록했다. 22.1%를 기록했던 지난해 말 보다 0.3%p 증가한 수치다. 다중채무자는 약 445만명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말 전체 차주 수 1,988만4천명을 기준으로 추산한 숫자다.
경제활동이 가장 활발한 40대 다중채무자의 비중이 가장 컸다. 전체 다중채무 대출 잔액의 32.6%가 40대에게 집중됐다. 이어 50대가 25.0%, 30대 이사가 26.8%, 60대 이상이 12.6%였다.
소득수준별로 보면 소득 상위 30% 고소득자가 65.6%였고, 중소득자 25.0%, 소득 항위 30%인 저소득자 비중이 9.4%로 나타났다. 고소득 다중채무자 비중은 줄고, 중·저소득자 비중은 각각 0.2%p, 0.1%p 늘었다.
윤창현 의원은 “다중 채무로 어려움을 겪는 청년·자영업자·저소득층이 늘고 있다”며 “이대로 방치하면 금융위기 원이 될 수 있는 만큼 정부는 취약차주들의 고금리 대출을 재조정하는 데 정책의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