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동원 피해단체 “윤 대통령 광복절 경축사는 맹탕” 비판

윤석열 대통령이 15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잔디마당에서 열린 제77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경축사를 하고 있다. ⓒ제공 : 뉴시스

일본의 강제동원으로 인한 피해자단체가 윤석열 대통령의 광복절 경축사에 대해 “허망하기 짝이 없는, 한 마디로 맹탕 그 자체”라고 비판했다.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시민모임)은 15일 윤 대통령의 광복절 경축사에 대한 논평을 내고 이같이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용산 대통령실 잔디마당에서 열린 제77주년 광복절 경축식 경축사에서 “과거 우리의 자유를 되찾고 지키기 위해서 정치적 지배로부터 벗어나야 하는 대상이었던 일본은 이제, 세계시민의 자유를 위협하는 도전에 맞서 힘을 합쳐야 하는 이웃”이라며 “한일관계가 보편적 가치를 기반으로 양국의 미래와 시대적 사명을 향해 나아갈 때 과거사 문제도 해결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한일관계의 포괄적 미래상을 제시한 김대중-오부치 공동선언을 계승하여 한일관계를 빠르게 회복하고 발전시키겠다”고 밝혔다.

시민모임은 논평에서 “한일 간 일제강제동원 피해자 배상 문제가 가장 큰 현안이 되고 있지만, 윤 대통령은 이날 광복절 경축사에서 ‘자유’만 33회 외쳤을 뿐, 광복 77년을 맞도록 사죄 한마디 듣지 못한 일제 피해자 문제에 대해서는 단 한마디 언급조차 없었다”고 비판했다.

또한 “인류의 보편적 가치인 인권 문제도 제대로 해결하지 않는 상태에서, 미래와 시대적 사명을 향해 어떻게 나아간다는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윤 대통령의 김대중-오부치 공동선언 언급에 대해서도 “당시 오부치 총리는 일본의 식민지 지배로 한국 국민에게 커다란 고통을 준 사실을 받아들이며 ‘통절한 반성과 마음으로부터의 사죄’를 했다”며 “한일 외교사상 처음으로 과거사에 대한 일본의 반성과 사죄가 공식 합의 문서에 명시됐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김대중-오부치 공동선언은 지금처럼 가해자 일본의 역사적 책임을 눈감은 채 무작정 미래로 나아가자고 했던 것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시민모임은 “윤 대통령은 이날 경축사에서 ‘법치’를 강조했는데, 그가 말한 법치가 과연 무엇인지 궁금할 뿐”이라며 “윤 대통령은 대법원 판결을 4년 동안 헌신짝 취급하며 우롱하고 있는 작금의 한일관계가 ‘법치’이고, ‘보편적 가치’인지 답해 달라”고 주장했다.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