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위안부 빠진 광복절 메시지’ 지적에 “취지에 다 들어가 있어”

윤석열 대통령이 1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로 출근하며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2022.08.16 ⓒ뉴시스

윤석열 대통령은 8.15 광복절 메시지에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한 메시지가 빠졌다는 지적에 “일반적인 방향에 대한 이야기를 하기 위해 세부적 이야기들은 들어가지 않았다만, 그 취지에 다 들어가 있다고 보면 된다”고 16일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용산 대통령실 청사 출근길에서 ‘어제 경축사에서 일본과의 관계 개선을 말씀하셨는데,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와 강제징용 피해자에 대한 메시지가 없어서 아쉽다는 반응이 있었다’는 취재진 말에 이같이 답했다.

이어 “위안부 문제 역시 인권과 보편적 가치에 대한 문제 아니겠냐”며 “그렇게 이해해주시면 될 것 같다”고 덧붙였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및 강제징용 피해자들의 피해 회복을 위한 해법·복안이 있느냐는 질문과 관련해서는 “외교부와 정부 출범 전부터 깊이 고민하고 있는 문제”라고 했다.

앞서 윤 대통령은 15일 광복절 기념사에서 한일 관계 개선에 대한 의지를 드러내면서, 이와 관련한 본질적 사안 중 하나인 ‘위안부’ 문제를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14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에도 아무런 메시지를 내지 않았다. 2017년 12월 국회에서 '일제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보호·지원 및 기념사업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이 처리된 뒤 국가기념일로 지정됐다.

한편, 윤 대통령은 ‘대통령실 인적쇄신’ 방향과 관련해서는 “변화라는 건 국민 민생을 제대로 챙기고, 국민 안전을 꼼꼼히 챙기기 위한 변화여야지, 어떤 정치적 득실을 따져서 할 문제는 아니다”라며 “휴가 기간부터 저 나름대로 생각해놓은 것이 있고, 국민을 위한 쇄신으로서 꼼꼼하게 실속있게 내실있게 변화를 줄 생각”이라고 말했다.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