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성동, 영빈관 되살리기 안간힘 “구청 건물도 수천억” “예산 들기는 매한가지”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2022.09.16. ⓒ뉴시스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는 윤석열 대통령의 철회 지시에 불구하고 “국가 영빈관에 대한 논의는 지속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18일 자신의 SNS에 글을 올려 “용산청사 주변 부지는 대한민국을 위해 헌신했던 분들을 기념하는 공간을 조성하고, 그곳에 국가 영빈관이 들어서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국가영빈관은 대통령뿐만 아니라 헌법기관들의 국제행사에도 활용할 수 있다. 용산과 가깝고 고정된 장소이기 때문에 내외빈을 위한 경호에도 용이하다”고 적었다.

권 원내대표는 “국가영빈관을 지금 당장 신축한다고 하더라도, 최소 2, 3년은 걸릴 것”이라며 “영빈관은 윤 대통령보다 후임 대통령을 위한 인프라 구축”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민주당에 태도 변화를 촉구했다.

기존 청와대 영빈관 활용 주장에는 “청와대를 국민께 돌려드리겠다는 약속과 배치된다”면서 “행사 때마다 3일 동안 차단한 채 보안검사를 해야 하며, 반복되는 행사장 설치 비용도 있다”고 반박했다.

900억원에 육박하는 예산에 대해 “지금처럼 호텔을 빌리거나 전쟁기념관과 중앙박물관을 오가는 것도 예산이 들기는 매한가지”라며 “현재 구청 건물도 수천억 원을 호가하는 곳이 많다. 동네 주민센터도 수백억이 되는 곳이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권 원내대표의 주장은 대통령 집무실과 관저 이전에 대한 찬성 여론이 낮았던 점이나 윤 대통령이 이전 발표를 하며 청와대 영빈관을 활용할 수도 있다는 뜻을 밝힌 것과 상반되는 주장이다. 또한 이미 집무실과 관저 이전 수백억원의 예산이 소요됐고, 추가로 합참 및 외교부 장관 관저 이전에도 상당한 예산이 들 예정이라 예산 낭비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지난 15일 오후 내년 예산안에 영빈관 신축을 위해 879억원이 배정된 사실이 알려지면서 비판 여론이 급속히 퍼졌고, 이에 다음날 저녁 윤 대통령이 전면 철회를 지시한 바 있다.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