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호 “외평기금 활용 등, 달러 공급 확대 할 것”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뉴시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최근 원/달러 환율 상승과 관련 “시장안정 조치를 하고 있고 여러 조치를 준비해놓고 있다”고 말했다.

추 부총리는 25일 KBS ‘일요진단’에 출연해 “선물환 매도 수요를 시중은행·국책은행이 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외평기금도 활용할 것”이라며 “이런 방식으로 시중에 달러 공급을 확대하면 환율 안정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최근 들어선 원화가 다른 통화보다 더 빠르게 약세를 보이는 쏠림 현상이 나타나 시장안정 조치를 하고 있고 여러 조치를 준비해놓고 있다”고 덧붙였다.

시장 개입 논란에 대해선 “외환보유고는 금고에 쌓아두라고 있는 게 아니라 이럴 때 시장안정 조치하라고 있는 자금”이라면서 “외환보유고가 아직 많으므로 이런 부분을 활용해서 적절한 시장안정 조치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추 부총리는 “한국은 지금 세계 9위 수준의 외환보유액과 7,400억 달러 상당의 순대외금융자산을 갖고 있다”며 “긴장은 계속해야겠지만 과도하게 불안해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한미 통화 스와프 체결 필요성에 대해서는 “한국이 시장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여러 대외건전성 장치를 갖고 있으므로 필요할 때 유동성공급장치를 활용하자는 것”이라면서 “미국도 상황을 좀 더 지켜보자는 입장”이라고 덧붙였다.

최근 환율 인상에 대해서는 우려를 나타냈다. 추 부총리는 “물가를 잡고 환율을 안정시키려면 금리를 인상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있지만, 경기와 대출자에 대한 부담이 커지는 문제도 있다”고 설명했다. 두 가지를 어떻게 조화시켜 나가느냐가 고민이라는 것이다. 그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많은 고심을 하며 결정하리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추 부총리는 “미국과의 금리 격차가 너무 커지면 외환시장과 금융시장 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고, 그걸 가파르게 쫓아가자니 국내 경기 문제나 가계부채 문제가 심각하기 때문에 여러 대출들이 금리 부담으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가계부채 문제에 대해 “굉장히 심각하게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금리 인상을 부른 물가 상승에 대해선 “이르면 9월, 늦어도 10월엔 정점에 이르지 않을까 하는 전망이 현재도 유효하다”고 말했다.

이어 “이후부터는 물가가 서서히 조금씩 내려가겠지만, 내려가는 속도는 굉장히 완만하다 보니 높은 수준 물가는 일정, 상당 기간 지속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