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오후 서울 성동구 서울교통공사에서 노사협상이 결렬 되자 조합원들이 이동하고 있다.2022.11.29. ⓒ뉴시스
서울 지하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의 노동조합이 30일부터 총파업에 돌입한다.
서울교통공사노조·통합노조로 구성된 연합교섭단(노조)은 29일밤 10시경 사측과의 최종 교섭 결렬을 선언했다.
노조는 “공사 측이 제시안에 대해 연합교섭단은 회의를 거쳐 만장일치로 최종 교섭 결렬을 선언했다”며 “따라서 교섭은 속개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노조는 이날 오후 2시부터 서울 성동구 본사에서 8시간 가까이 사측과 임금·단체협약 교섭을 진행했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이에 따라 노조는 예정대로 30일부터 총파업에 돌입하겠다고 밝혔다. 서울교통공사 노조의 파업은 지난 2016년 이후 6년 만이다.
노조는 “서울시와 서울교통공사가 2021년 9월 ‘재정위기를 이유로 강제적 구조조정이 없도록 한다’는 노사특별합의를 번복하고, 2022년 5월 승무원 및 결원인력 299명을 충원하기로 한 노사·서울시 합의를 이행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노조는 총파업 당일 오전 10시 30분 서울시청 앞에서 6천 명의 조합원이 참석한 가운데 ‘총파업 출정식’을 가질 예정이다.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과 현정희 공공운수노조 위원장 등이 직접 참석해 노조를 격려할 예정이다. 노조는 “총파업 출정식에서 오세훈 서울시장이 직접 교섭에 나서라고 요청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29일 서울 성동구 서울교통공사 군차차량사업소에 열차가 정차해있다. ⓒ뉴시스
서울교통공사는 지하철 1~8호선과 9호선 2·3단계(신논현~중앙보훈병원)를 운영하는데, 노조의 총파업으로 인해 운영에 차질이 생길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노조는 필수유지업무제도에 따라 파업 기간에도 전체 인력의 30% 수준을 유지해야 한다.
서울시는 대체인력을 확보해 출근시간엔 지하철이 정상운행하도록 하겠다는 방침이다. 낮 시간에는 평소 열차 운행량의 70% 수준으로 열차를 운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