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지컬 ‘인터뷰’가 5년 만에 돌아왔다. 필자는 이 작품의 초연을 선명하게 기억하고 있다. 여러 심리 추리극을 보았음에도, 이 작품에 대한 기억이 선명한 이유가 있다. 2016년 초연된 이 뮤지컬은 10년 전 살인 사건의 진실을 파헤치는 과정을 그렸는데, 지속적인 폭력이 어떻게 인간의 내면을 파괴하는지 가감 없이 보여줘 당최 잊히지 않는 작품이었다.
아동 학대에 대해선 가중처벌을 하는 유럽이나 미국 등에 비해 한국의 처벌은 솜방망이 수준이라는 비판이 적지 않았다. 양부모의 학대로 입양 271일 만에 사망한 ‘정인이 사건’이 도화선이 돼 2021년 2월 정인이법(아동학대범죄처벌 특례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기까지, 우리는 수많은 아동의 죽음을 지켜봐야 했다.
뮤지컬 ‘인터뷰’가 단순 살인 사건을 파헤치는 심리 스릴러물에 머물지 않고 묵직한 울림을 주는 이유는, 이 이야기의 배경이 ‘가정 폭력과 아동 학대’에 있기 때문이다. 이는 5년 만에 다시 돌아온 뮤지컬 ‘인터뷰’를 더 깊이 있게 보게 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핫’한 배우들과 더 탄탄해진 무대
뮤지컬 ‘인터뷰’에 캐스팅된 배우들이 관심을 모으고 있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더 글로리’의 ‘하도영’ 역할로 최근 가장 ‘핫’한 배우가 된 정성일, 안정감 있는 연기력으로 믿고 보는 배우 정상윤과 박영수, 김지철이 합세해 4인 4색의 ‘유진 킴’을 선보인다. 배우 최호승, 손유동, 현석준, 김리현은 해리성 정체감 장애를 앓고 있는 ‘싱클레어’ 역으로 관객과 만난다.
잘 짜인 구성 역시 이 작품의 장점이다. 2001년 런던의 유진 킴 사무실에 작가 지망생 싱클레어가 들어서면서 두 사람의 주고받는 심리전이 숨 막히게 진행된다. 유진 킴의 지칠 줄 모르는 유도 질문과, 초 단위로 돌변하는 싱클레어 내면의 여러 인격이 사건의 과거와 현재를 오가며 팽팽한 줄다리기를 한다. 여기에 조재철 피아니스트의 연주가 극 전체를 아우르며 긴장과 이완을 선사한다.
좀 더 깊이 이야기로 들어가 보자. 추리소설 ‘인형의 죽음’을 쓴 베스트셀러 작가 유진 킴에게 작가 지망생 싱클레어가 찾아온다. 유진은 전날 밤 자살 기도를 한 연쇄살인범의 유서를 내밀며 싱클레어에게 글을 만들어보라고 한다. 유서를 읽은 싱클레어는 '자기 안의 괴물'이라는 이야기를 쓰게 되고 유진에게 ‘인형의 죽음’ 실제 모델이 조안 시니어가 아니냐고 묻는다. 당황한 유진을 향해 싱클레어는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사람처럼 ‘인형의 죽음’을 통해 알려진 '오필리어 살인범'의 첫 시작을 파헤친다. 10년 전 살인 사건의 진범을 찾는 두 남자의 인터뷰는 이렇게 시작된다.
작가 지망생으로 보였던 싱클레어는 인터뷰가 진행되면서 10년 전 살인 사건과 연관되어 있음이 점점 드러난다. 싱클레어와 누나 조안은 알코올 중독자였던 새아버지에게 상습적인 폭행과 성폭력을 당하며 성장한다. 친엄마의 방관과 무관심 속에서 남매는 서로를 의지하지만, 성장한 조안은 싱클레어를 남겨둔 채 사랑하는 남자를 따라 집을 떠나려 한다.
세련된 심리 추리극이 보여 주는 아픈 현실
죽음보다 캄캄한 삶 속에서 싱클레어는 살아남기 위해 여러 자아를 만들어 내게 되고, 그 자아들에게 원래의 자신은 먹히고 만다. 여러 자아로 순간순간 돌변하는 싱클레어의 모습은 관객을 압도하는 명장면이기도 하다. 관객들은 사건의 본 모습이 조금씩 드러날 때마다 지속된 폭력이 인간의 내면을 어떻게 파괴하는지 확인하게 된다.
뮤지컬 ‘인터뷰’는 잘 만들어진 작품임에는 분명하다. 의도했건 의도하지 않았건 현대 사회를 반영한 이야기가 주는 울림이 깊다. 아직까지 한국 사회엔 가정 폭력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아이들이 있고, 그들을 먼저 찾아내기엔 사회 안전망이 여전히 헐겁다. 권력과 지위를 내세운 폭력은 가정 뿐만 아니라 학교, 직장 모든 곳에 광범위하게 존재한다.
폭력에는 어떤 이유로도 면죄부를 줄 수 없다. 우리는 사건의 피해자를 제대로 지켜주지 못하면 제2, 제3의 피해자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수 있다는 것을 여러 사건을 통해 봐 왔다. 그런 의미에서 이 작품은 가볍지 않은 무게감으로 관객에게 다가온다.
뮤지컬 ‘인터뷰’는 5월 28일(일)까지 예스24스테이지 2관에서 공연되며, 인터파크 티켓, 예스24 티켓, 티켓링크에서 예매 가능하다.
뮤지컬 ‘인터뷰’
공연날짜 : 2023년 3월 4일(토) ~ 5월 28일(일) 공연장소 : 예스24 스테이지 2관 공연시간 : 화, 목, 금 20시/수요일 16시, 20시/토 15시, 19시/일, 공휴일 14시, 18시 러닝타임 : 110분(인터미션 없음) 관람연령 : 만 15세 이상 관람가 프로듀서 : 김수로 창작진 : 작, 연출 추정화/작곡, 음악감독 허수현/안무 김병진 출연진 : 정성일, 정상윤, 박영수, 김지철, 최호승, 손유동, 현석준, 김리현, 박새힘, 조영화, 유소리, 문은수 공연예매 : 클립서비스 1577-33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