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국지사 민영환의 서구식 군복, 국가문화재로 등록된다

문화재청 등록 예고 “소장 경위 명백하고 복식사적 가치 충분”


우국지사 민영환이 생전 입었던 서구식 군복. ⓒ문화재청
대한제국 시기 문신이며 을사늑약 체결에 죽음으로 항거한 우국지사 민영환(閔泳煥)의 서구식 군복이 국가 문화재로 등록된다.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15일 민영환의 서구식 군복에 대해 국가문화재 등록을 예고했다고 밝혔다.

민영환(1861~1905)은 조선왕조·대한제국 시기 관료다. 그는 개화파 인사로 독립협회를 후원하기도 했다. 여러 요직에 기용되었으나, 날로 심해지는 일본의 내정간섭에 맞서다가 1905년엔 한직인 시종무관으로 밀려났다. 그해 11월 일제가 대한제국을 압박해 외교권을 박탈하는 을사늑약을 맺자, 동료 관료들과 상소를 올려 여러차례 을사오적의 처형과 조약 파기를 주장했다. 그러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죽음으로 항거했다. 

이번에 국가문화재로 등록 예고된 민영환의 군복은 1897∼1900년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윗옷과 바지, 모자, 견장 등 모두 14건 17점의 복식과 착용물로 이뤄졌다.

대한제국의 서구식 군복제도는 1895년 ‘육군복장규칙’에 따라 시행되었다. 민영환의 서구식 군복은 1897년 및 1900년에 개정된 ‘육군장졸복장제식’에 따라 제작됐다. 문화재청은 "예모·대례의·소례견장·대수 등 구성요소를 대부분 갖추고 있어 복식사적 가치가 충분하다"고 평가했다. 

해당 유물은 민영환의 후손이 지난 2005년 순국 100주년을 맞아 고려대학교 박물관에 기증한 것이다. 소장 경위가 뚜렷해 그 가치가 높다. 

향후 해당 유물에 대해 30일 간의 예고기간 동안 각계 의견을 수렴한다. 최종적으로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등록이 확정된다.

한편, 문화재청은 이와 함께 경기도 안성시 양성면 소재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 기념성당'을 국가등록문화재로 확정했다. 해당 유적은 한국 최초 천주교 사제인 김대건 신부(1821∼1846)를 기념하기 위해 1928년 세워진 성당 및 묘역이다.

문화재청은 "기념성당의 원형이 상당히 잘 유지되어 있고, 성당 앞에 위치한 묘역들이 성당의 상징성과 장소성을 더욱 잘 보여준다"라며, "해당 유구들을 통해 한국 천주교의 발전 역사를 확인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안성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 기념성당을 해당 지방자치단체, 소유자(관리자) 등과 협력하여 체계적으로 보존‧관리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