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지난 16일 친교 만찬을 마치고 도쿄 한 식당으로 자리를 옮겨 맥주로 건배하고 있는 모습. 2023.03.16. ⓒ뉴시스
더불어민주당은 19일 한일정상회담 테이블에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와 독도 영유권 문제가 올랐다는 일본의 주장과 윤석열 정부의 입장이 엇갈리는 데 대해 “한쪽은 분명히 거짓말을 하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민주당 임오경 대변인은 이날 국회 브리핑에서 “회담 당사자인 일본 관방부장관이 확인하고 일본 공영방송인 NHK가 보도했는데, 대한민국 대통령실은 ‘그런 사실이 전혀 없었다’고 강변하기만 한다. 일본의 주장이 사실이 아니라면 ‘왜 거짓말하느냐’며 항의하지 못하나”라고 비판했다.
기하라 세이지 일본 관방부장관은 지난 16일 정상회담 직후 일본 측 기자들과 만나 성과를 설명하며 “독도 문제가 (한일 간 현안에) 포함됐고 (한국 측에) ‘위안부’ 합의에 대해 착실한 이행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통령실과 외교부는 ‘위안부’ 합의와 독도 문제 모두 논의된 바 없다며 이를 부인했다.
임 대변인은 “정부 권력의 거짓말은 중대한 문제다. 다시 한번 대통령실에 묻는다. 정상회담에서 ‘위안부’ 합의, 독도 영유권 (의제) 거론됐나”라며 “국민 앞에 진실을 명백히 밝히라”고 촉구했다.
오영환 원내대변인도 서면 브리핑에서 “‘위안부’ 합의, 독도 문제가 국가 안보를 위해 비공개해야 할 만한 사안인가. 윤석열 대통령이 당당하다면 오고 간 대화를 다 공개하지 못할 이유가 없다”며 “일본 정부도 정상회담 내용을 언론에 공개했다. 윤 대통령이 공개하지 못한다면 그것은 국민들에게 사실을 알릴 자신이 없기 때문”이라고 꼬집었다.
오 원내대변인은 “이미 외교 참사를 덮기는 불가능하다. 윤 대통령은 하루라도 빨리 국민께 잘못을 이실직고하고 석고대죄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한편, 박진 외교부 장관은 전날 KBS 뉴스9에 출연해 “독도 또는 ‘위안부’ 문제는 (정상회담) 의제로서 논의된 바 없다”고 밝혔다. 다만 ‘의제로 논의된 바가 없다는 건 기시다 후미오 총리가 그 부분에 대해 말을 꺼냈다고 받아들여도 되겠나’라는 진행자의 물음에 박 장관은 “정상회담의 내용을 제가 구체적으로 말씀드리는 것은 적절하지 않을 것 같다”며 즉답을 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