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기 대통령 비서실장이 19일 오후 서울 종로구 총리 공관에서 열린 고위당정협의회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공동취재사진) 2023.03.19. ⓒ뉴시스
김대기 대통령 비서실장은 19일 정부가 주 최대 69시간 노동시간 개편에 나섰다가 비판 여론에 직면한 건 “극단적이고, 일어날 수 없는 프레임이 씌워져 진의가 전달되지 않은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실장은 이날 오후 서울 종로구 삼청동 총리 공관에서 열린 고위당정협의회에 참석해 69시간 노동제와 관련, “연장근로시간 단위를 확대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근로자들에게 혜택을 주려는 정책이었다”고 강변했다.
그러면서 김 실장은 “입법예고 기간 중이니 MZ 근로자, 노조 미가입 근로자, 중소기업 근로자 등 현장의 다양한 의견을 들으면서 당과 같이 보완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또 “각 부처로 하여금 추진하는 정책은 반드시 당과 사전협의를 해 예상되는 부작용을 거르는 노력을 강화하겠다”고 했다.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도 ‘69시간제 논란’을 의식한 듯 “때로는 취지와 다르게 자칫 다른 부분이 확대돼 해석될 수 있는 만큼 정책의 입안, 발표 이전에 당과 정부, 대통령실과의 충분한 논의와 토론이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국민의 시각에서 정책이 입안되고 추진될 수 있도록 당이 최선을 다해 나갈 것”이라며 “어떤 정책이든지 한번 발표되고 나면 현장에서 느끼는 파급효과가 매우 크다”고 했다.
이날 고위당정협의회는 김 대표 등 국민의힘 새 지도부 선출 이후 처음 열린 회의다. 회의에는 국민의힘에서 김 대표, 주호영 원내대표, 성일종 정책위의장, 이철규 사무총장 등이 참석했다. 정부에서는 한덕수 국무총리,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박진 외교부 장관 등이, 대통령실에서는 김 실장과 김태효 국가안보실 제1차장 등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