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도운 대통령실 대변인이 19일 용산 청사에서 한일정상회담 등 현안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3.03.19. ⓒ뉴스1
한일 정상회담을 두고 뒷말이 무성한 가운데, 대통령실이 아전인수식 여론전에 몰두하는 모양새다.
“윤석열 대통령이 군사협력·강제징용 제3자 변제·WTO제소 취하 등 한 보따리 내주고 받은 것이 식사 대접 말고 있냐”(더불어민주당)는 비판 여론이 거센 상황에서, 대통령실은 19일 “윤 대통령의 방일 외교는 커다란 성공”이라는 자체 평가를 이어갔다.
이도운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오후 언론 브리핑에서 지난 17일 끝난 윤 대통령의 방일 성과를 짚으며 ‘제3자 변제’ 방식의 강제동원 해법이 “상대방의 마음을 연 것”이라고 자평했다. 이 대변인은 “양자 또는 다자 관계에서 판”을 바꿔 정부가 “유리한 위치”, “주도적 위치”에 가까워졌다고도 진단했다.
이 대변인은 “기시다 후미오 총리는 물론이고, 방일 기간 중에 만난 12명의 정치 지도자, 십여 명의 경제 지도자 그리고 수백 명의 게이오대 학생들까지 한목소리로 윤 대통령의 결단을 높이 평가했다”고 자화자찬했다. 또 대통령 일행이 묵은 숙소 직원들, 일본 주민들, 공항 직원들이 박수 세례를 보냈다며 “이 정도면 일본인의 마음을 여는데 어느 정도 성공했지 않았나 생각한다”고 해석했다.
이어 이 대변인은 “윤 대통령 방일 기간 중에 한국과 일본에서 양자관계에서 보기 드물게 양국의 여론이 일치하는 분위기가 형성이 됐다”며 “한국과 일본의 여론이 이 정도로 일치된 적이 과거에 있었는지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번 정상회담이 ‘외교 참사’에 가깝다는 국내 반발 여론에 대해 이 대변인은 “야당 측의 비판을 보면 조금 아쉽거나 실망스러운 점도 없지 않다”고 했다. 이 대변인은 야권에 “역사의 큰 흐름이나 국제질서 변화의 큰 판을 읽지 못하고 너무 지엽적인 문제를 제기하거나 지나치게 과도한 용어를 동원해서 정치적 쟁점을 만들려 하는 것 아닌가”라고 지적했다.
한편, 대통령실 관계자는 ‘일본 측이 독도, ’위안부‘, 오염수 문제 등으로 뒤통수친 것 아니냐는 여론이 있다’는 취재진의 질문에 “앞의 두 개(독도·위안부)는 (정상회담에서) 논의된 적 없다고 명확히 얘기했다”고 선을 그었다.
일본은 이미 배석자 등을 통해 양 정상의 회담 테이블에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 이행과 독도 영유권 문제를 올렸다고 밝힌 상태지만, 우리 정부는 “정상회담 내용을 구체적으로 말하는 건 적절하지 않다”(박진 외교부 장관)며 다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 관계자는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에 관해서는 “어떤 논의가 있었는지 공개하는 것은 적절치 않은데 정부 원칙은 있다”며 “과학적 안전성 확인”이 전제돼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