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시는 29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2023년 제1회 광명시 갈등관리심의위원회를 개최했다 ⓒ광명시
경기도 광명시가 ‘구로차량기지 이전 갈등’ 등 주요 현안 문제에 대한 해법을 모색한다.
광명시(시장 박승원)는 29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2023년 제1회 광명시 갈등관리심의위원회’를 열었다.
이날 위원회는 ▲ 구로차량기지 이전 ▲ 광명·시흥 테크노벨리 조성사업 ▲ 광명시 자원회수시설 설치사업 ▲ 현충터널 설치공사 등 중점관리대상 A 등급 4개 사업에 대한 갈등관리 해법을 논의했다.
아울러 광명 제9구역 공사로 인한 통행로 폐쇄에 따른 갈등 등급을 심의했다.
위원회는 갈등관리 대상 사업 및 종합계획 수립, 관련 법령 등에 대한 심의·자문을 목적으로 지난 2021년 구성돼 매년 상·하반기 각 1회씩 연 2회 개최해오고 있다. 위원은 갈등관리 전문가와 시민단체, 변호사 등 12명으로 구성됐다.
특히 구로차량기지 이전 갈등은 지난 2021년부터 이해관계 상충 여부, 갈등의 정도, 해결 방안과 기간 등 시정에 끼치는 영향을 고려해 중점관리대상인 A등급으로 정해 중점적으로 관리해오고 있다. 구로차량기지 이전 갈등 사안은 이날 위원회에서도 가장 중점적으로 다뤄졌다.
시에 따르면 갈등 등급은 이해관계 존재, 갈등의 집단화, 이슈화 등으로 구성된 갈등진단표 12개 항목을 기준으로 진단한 뒤 A-B-C 3등급으로 결정한다. A 등급은 이 중 갈등의 중대한 정도가 8개 항목 이상, B 등급은 6개 이상, C 등급은 5개 이하에 해당하는 경우다.
시 갈등관리 관계자는 “갈등관리 방안으로 공공의 이익과 상대적인 약자의 이익을 위한 깊이 있는 고민이 필요하다”라며 “앞으로 중점 관리 대상 사업에 대한 모니터링을 철저히 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하여 공공갈등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시는 선제적 갈등관리와 시민 중심 민원 해결을 위해 지난 1월 시장 직속으로 시민소통관을 신설하고 직소민원팀·갈등관리팀·시민소통팀 등 3개 팀을 운영하고 있다. 또 갈등조정관을 채용해 갈등 중재와 조정 등에 힘쓰고 있다. 오는 4월과 5월부터는 시민소통관실을 시작으로 관련 부서와 시민들에 대한 갈등관리 전문 교육도 진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