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위령비 참배한 원폭 피해자 중 강제징용자는 없는 것으로 안다”

용산 대통령실 청사. ⓒ뉴시스

대통령실은 21일 한일 정상의 한국인 원폭 희생자 위령비 참배에 동행한 우리 원폭 피해자 중 강제동원 피해자는 없었다고 밝혔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오전 주요 7개국(G7) 회의가 열리는 일본 히로시마에서 한국 취재진과 만나 “오늘 참배하신 10분 가운데 강제징용자는 없었던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는 위령비 첫 문장에 “2차 세계대전이 끝날 무렵 히로시마에는 약 10만 명의 한국인이 군인, 군속, 징용공, 동원 학도, 일반 시민으로 살고 있었다”는 대목이 있었다는 이도운 대변인 브리핑 내용과 관련한 취재진 질문에 대한 답변이었다.

이 관계자는 다만 “우리 정부의 공식 확인은 아니었다. 만약 사실관계가 다르면 말씀드리겠다”고 했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21일 오전 7시 35분께 일본 히로시마 평화기념공원 내 한국인 원폭 희생자 위령비를 함께 참배했다.

이번 한일 정상의 위령비 참배와 윤 대통령이 우리 원폭 피해자들을 만난 것과 관련해 원폭 피해자들 중 상당수가 강제동원 피해자라는 각종 보도에 언급됐다. 이도운 대변인은 순방 전 브리핑에서 윤 대통령과 원폭 피해자들 만남을 예고하며 “윤 대통령께서 한일 양국의 미래세대를 위해 관계 개선을 추진하는 것과 한편으로 과거사 문제도 계속 해결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이를 두고 일본과의 직접적인 과거사 현안인 강제동원 문제와 관련해 윤 대통령이 일종의 면피성 행보를 보이는 것 아니냐는 평가도 나온다.

히로시마 원폭 피해자 대부분이 일제 강제동원 피해 당사자이긴 하지만, 이들을 ‘강제동원 피해자’가 아닌 ‘원폭 피해자’라는 대상으로 국한해서 만나고, 이를 두고 ‘과거사 해결 의지’라고 표현하는 건 일본과의 과거사 문제에 관한 본질을 흐리는 것이라는 지적이다. 또한 일본 역시 원폭 피해국인 만큼 우리가 ‘원폭 피해 문제 해결’로 과거사 문제 대응 범위를 축소할 경우, 결과적으로 일본의 전쟁 범죄 및 불법적 식민 지배 과오를 희석시키는 효과를 낳을 수 있다.

대통령실은 이번 위령비 참배와 관련한 이러한 우려 지점들을 여전히 외면하고 있는 모습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오늘 위령비 공동 참배로 과거사 문제에 대해 일단락이 됐다고 평가를 하는 것인지, 추가적으로 양 정상이 과거사와 관련해 더 해결해 나가기로 한 부분이 있는지 궁금하다’는 취재진 질문에 “두 정상의 위령비 참배의 가장 중요한 의미 가운데 하나는 그동안에 한일 양국이 과거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말 위주로 해왔다면 이번에는 실천을 한 것”이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여전히 국내에 반일 감정을 이용해 얄팍한 정치적 이익을 얻으려는 세력이 있고, 일본 내에서도 분명히 혐한 감정을 이용해 정치적 이득을 꾀하는 세력이 있을 것”이라며 일본의 불법적 식민지배에 얽힌 과거사 문제를 대하는 정부에 대한 비판적 목소리를 폄훼하는 태도를 반복해서 드러냈다.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