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계 단체들이 윤 대통령 부처님오신날 봉축법회 참석 반대한 이유

윤석열 대통령과 부인 김건희 여사가 지난해 11 4일 서울 종로구 조계사에서 열린 이태원 참사 희생영가 추모 위령법회에 참석해 합장하는 모습. 2022.11.04. ⓒ뉴시스

27일 조계사 대웅전 앞에서 열리는 부처님오신날 봉축법회에 윤석열 대통령이 참석해서는 안된다고 불교계 단체들이 주장했다. 참여불교재가연대 교단자정센터, 전국민주연합노조 대한불교조계종지부(조계종 민주노조) 등이 이같은 내용의 성명을 냈다.

참여불교재가연대 교단자정센터는 23일 논평을 통해 “부처님오신날(음력.4.8) 봉축법회의 주인공은 만 생명이다. 부처님이 이 땅에 오신 뜻을 되새기며 사회적 참사를 반성하고 사회적 약자를 돌이켜보는 자리여야 한다”면서 “대통령을 돋보이게 하는 정치행사가 아니다”라고 꼬집었다.

이어 “제주도 4.3 기념일 참석을 거부하고 오히려 서북청년단을 주도한 영락교회에 성경책을 들고 방문하는 등 국론 분열을 조장하고 있다. 종교 이용 행태를 즉각 멈추고 겸손하게 자숙하며 지난 1년을 성찰하는 시간을 가져야 마땅하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종교를 정치에 이용하는 행동은 정교분리를 규정한 헌법정신에도 위배된다. 헌법을 수호하지는 못할망정, 헌법을 유린하고 파괴하는 행동을 반복하는 대통령을 언제까지 두고보아야 할지 걱정스럽다”고 밝혔다.

조계종 민주노조도 지난 22일 입장문을 내 윤 대통령의 봉축법회 참석을 반대했다. 이들은 특히 종단이 부처님오신날 봉축 법요식에 매년 초청하던 사회적 약자를 올해엔 초청하지 않은 것에 대해 비판했다.

조계종 민주노조는 “부처님오신날 법요식 초청 대상은 종단의 종책적 판단과 사회적 메시지 전달 내용에 따라 바뀔 수 있다. 설령 외부의 자문과 주장이 있다하더라도 최종 판단은 종단의 몫이어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병자를 돌보는 것이 부처님을 모시는 것과 같다고 했다. 종교는 외롭고 의지할 곳 없는 중생의 귀의처여야 한다. 또한 종교에 부여된 사회적 역할과 책임을 다해야 한다. 우리 사회의 가장 고통 받는 이들을 위해 따뜻한 손을 내미는 것, 정치에는 억울함이 없도록 장군 죽비를 내리는 것, 시민사회에는 차별과 혐오를 넘어 조화와 상생의 장을 이끌어 내는 것이야말로 부처님 오심을 찬탄하는 일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더 이상 제 몸을 불사르는 죽음의 행렬이 이어져서는 안 된다. 4·16세월호와 10·29이태원 참사와 같은 가슴 아픈 일이 계속 되어서는 안 된다. 공정과 상식이 더 이상 농락당해서는 안 된다. 위정자들에 의해 민족의 자존과 국격이 내팽겨져서는 더더욱 안 된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