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대노총 청년노동자 만난 민주당 “윤 정부, ‘MZ’ 내세워 옥죄기만”

포괄임금지 폐지, 중대재해 예방, 노동인권 교육 법제화 등 약속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양대노총 청년 노동자 타운홀미팅 노동정책간담회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2023.06.08. ⓒ뉴스1

더불어민주당은 8일 양대노총 청년 노동자들과 만나 현장의 고충을 청취하고, 제도 개선을 공언했다. 건설, 의료, IT, 공공기관 등 다양한 일터에서 노동하며 생계를 지속하고 있는 청년 노동자들은 윤석열 정부의 ‘반노동’ 정책이 심화하는 데 대한 우려를 표하며, 자신들의 생존권이 유지되도록 지켜달라고 호소했다.

민주당은 이날 국회에서 민주노총·한국노총 조합원인 청년 노동자들과 노동정책 간담회를 가졌다.

당에서는 민주당 이재명 대표를 비롯해 정책위원회 수석부의장인 김성주 의원,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김영진·노웅래·우원식·윤건영·이수진(비례)·이학영·전용기·진성준 의원 등이 참석했다. 양대노총에서는 민주노총 건설노조·공무원노조·전교조·특성화고노조, 한국노총 금융노조·의료노련·IT사무서비스노련의료노련 등 소속 조합원들이 참석했다.

이 대표는 인사말을 통해 “대부분 국민은 노동에 의존해서 생계를 꾸려간다. 우리뿐만 아니라 다음 세대들도 노동에 의존해서 살아가게 될 것”이라며 “노동의 형태가 바뀌기는 하지만 그 본질은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최근에 벌어지고 있는 정부의 노동 탄압에 우리가 함께 그 현실을 이야기하고 대응책을 논의하는 것”에 관해 간담회의 의미를 부여하며 “당이 할 수 있는 일이 어떤 것인지 함께 고민해 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성주 의원은 “우리나라가 노동 존중 사회에서 노동 탄압 사회로, 노조는 지원의 대상에서 말살의 대상으로, 노동운동은 등한시되고 있다. 불과 1년 만에 이뤄지고 있는 엄청난 퇴행”이라며 “윤석열 정부와 국민의힘은 청년의 팍팍한 노동 현실을 ‘MZ’라는 용어를 내세워 청년을 나누고, 계속 옥죄는 데에만 활용하고 있다. 청년을 위한 노동 정책이 단순히 청년세대를 위한 것이 아닌, 모든 노동자를 위한 정책임을 확인할 것”이라고 했다.

청년들은 정의로운 노동 전환, 중대재해 및 산재 예방, 청년 공무원 노동현실 개선, 채용 비리 처벌 강화, 성차별 없는 일터, 학교노동인권 교육 법제화, 장시간 노동 및 과로사 방지 대책, 간호조무사 실습생 보호 방안, 포괄임금제 폐지 등과 관련해 국회 내 입법 진척 상황을 문의했고, 관철을 당부했다.

나아가 제치성 민주노총 건설노조 경기지부 청년위원장은 “건설노동자들의 생존권, 어렵게 자리 잡은 청년건설노동자들의 생존권을 지켜달라”고 했고, 최지혜 한국노총 의료노련 세브란스 조합원은 주4일제 시범사업 기간에 참여해 느낀 긍정적인 경험담을 공유하며 “결혼, 출산, 육아로 간호사들이 일을 그만두지 않고 환자 옆에서 오래오래 함께할 수 있길 바란다”며 사업이 지속되길 희망한다고 전했다.

환노위 의원들은 이미 발의해 국회에 계류 중인 ‘과로사 예방 및 근로 시간 단축 지원에 관한 법’(이수진(비례) 대표발의), ‘교육기본법 일부개정안’(우원식 대표발의), ‘산업안전보건법 일부 개정안’(노웅래 대표발의), ‘지방공무원법 일부 개정안(진성준 대표발의), ‘교육기본법 일부개정안’(전용기 대표발의) 등의 적극적인 논의, 또는 간담회를 계기로 보완 입법을 통해 제도 개선에 나서겠다고 공언했다.

환노위 야당 간사인 김영진 의원은 “노동 존중이 아닌 노동을 죄악시하는 행태에 민주당이 단호히 대응하겠다는 입장은 변함이 없다”며 “양대노총의 과제를 진전된 방향으로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