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그림으로 세상읽기] 비 오는 파리 거리

장마가 시작되었습니다. 매년 이맘 때 시작되는 연례행사 같은 것이지만 장마가 시작되면 폭우에 대한 불안함과 식물들을 향한 기대감을 동시에 안게 됩니다. 비 오는 날이면 늘 떠오르는 작품이 있습니다. 프랑스 화가 구스타프 카유보트(Gustave Caillebotte)의 ‘비 오는 파리 거리’는 그림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기 때문입니다. 

비 오는 날 파리 거리 Paris Street in Rainy Day 1877 oil on canvas 212.2cm x 276.2cm ⓒ시카고 아트 인스티튜트, 미국

비가 내리는 겨울 오후, 파리 더블린 광장에서 멋진 남녀 한 쌍이 우리를 향해 걸어 오고 있습니다. 두 사람은 자신들을 향해 다가오고 있는 오른쪽의 남자를 피해 고개도 시선도 왼쪽으로 돌렸습니다. 덩달아 우리의 시선도 그들을 따라 왼쪽으로 움직이게 됩니다.

중산층으로 보이는 두 남녀의 의상은 당시 파리 사람들의 패션 감각이 어느 수준인지를 보여줍니다. 여인은 모자와 베일을 썼고 다이아몬드 귀고리를 달았습니다. 털이 달린 코트는 우아한 갈색입니다. 콧수염의 남자는 탑 햇을 썼고 보타이와 단추가 달린 조끼를 착용했는데 걸치고 있는 코트도 예사롭지 않습니다.

‘비 오는 날 파리 거리’ 가운데 일부 ⓒ시카고 아트 인스티튜트, 미국

이 작품은 카유보트가 사진 기법을 이용해 제작한 것입니다. 작품에 등장하는 여러 대상들 중에 초점을 맞춘 것은 우산을 쓰고 생각에 잠겨 혼자 걸어가고 있는 남자입니다. 도로를 포장하기 위해 깔린 돌들의 묘사와 그 남자의 외곽선이 가장 명확하게 처리되어 있는데 카메라의 ‘아웃 포커스’ 기법을 가져온 것이지요.

몇 개월 동안 사람들 배치를 고민하고 제작한 작품에서 카유보트는 정차된 마차에서 내려 걸어가는 사람의 다리를 우산 밑에 묘사해서 마치 스냅 사진처럼 화면을 구성했습니다. 1877년 제3회 인상파 전시회에 처음 출품된 이 작품은 ‘19세기 후반 도시의 삶을 묘사한 위대한 작품’이라는 평을 받기도 했습니다.

‘비 오는 날 파리 거리’ 가운데 일부 ⓒ시카고 아트 인스티튜트, 미국

카유보트는 이 작품에 대담한 구성을 적용했는데 화면 중앙 수직의 초록색 가스등으로 화면을 좌우 반으로 나눴고 뒤편에 보이는 건물과 도로의 경계가 만드는 수평선을 이용해서 화면을 상하로 나누어 전체 화면을 4등분으로 나눴습니다. 그러다 보니 왼쪽 아랫부분에는 다른 부분과 달리 비어 있는 공간이 만들어졌지요.

이런 것도 카메라의 기법인데 덕분에 우리는 그림에 등장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조금 더 자세히 살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사람들 대부분은 홀로 걷고 있고 거리를 산책한다기보다는 각자의 생각에 빠져 있는 듯한 모습입니다. 파리는 이미 근대 도시의 속성에 깊이 빠져든 것 아닐까 싶습니다.

카유보트는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나 돈 걱정 없이 생활할 수 있었습니다. 본인도 그림을 그리는 화가였지만 가난한 인상파 화가들의 친구로서 후원자로서 더 큰 활약을 했습니다. 유산을 물려 받은 후에는 정원사, 보트 경주 선수로 활약했는데, 인상파 친구들과는 달리 사실적 묘사에 중점을 더 둔 화풍을 유지했습니다.

카유보트의 대표작 ‘비 오는 날 파리 거리’는 1980년 영국 BBC가 뽑은 100대 걸작에 선정되기도 했지요. 장맛비가 내리는 거리에 나가시거든 카유보트의 이 작품을 떠올리며 우리의 거리 모습은 어떤지 살피면 어떨까요? 그것도 지루한 장마를 이기는 방법이 될 수 있지 않을까요?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