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길벗 칼럼] 왜 스트레스 받으면 음식이 먹고 싶어지는 걸까?

사람들은 우울하거나 스트레스 받았을 때, 그것을 풀려고 종종 폭식(暴食)을 합니다. 왜 그럴까요? 이 글에서는 사람들이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 이것이 비만으로 어떻게 연결되는 지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음식을 먹으려 생각하는 것만으로도 심리적 안정감이 생기고 부정적 정서가 준다고 합니다. 먹는 것과 관련된 행동들이 포만감이란 단순 욕구 충족을 넘어, 쾌락적 만족이나 심리적 보상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일부 연구에 따르면, 우울감이나 스트레스가 식욕을 활성화시켜 음식을 먹으면, 그 때는 안정감이 들지만 일시적일 뿐이라고 합니다. 다시 우울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으면 또 음식을 찾게 되는 것이지요. 

튀김, 피자 등 기름진 음식 (자료사진) ⓒpixabay

스트레스 받았을 때 폭식하는 주된 이유는 몸의 호르몬 때문입니다. ‘코티솔’(당질 코르티코이드 계)이란 호르몬이 영향을 미칩니다. 이 호르몬은 별칭이 스트레스호르몬입니다. 일상적인 스트레스 수준에서는 호르몬이 긍정적 역할을 하지만, 일정기간 이상 일정량 이상의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코티솔 수치가 증가하고, 이에따라 그렐린(식욕을 자극하는 호르몬) 수치도 따라 올라갑니다. 이렇게 식욕이 증가하는 것이죠.

그런데 코티솔은 단순히 식욕을 증가시키는 것이 아니라, 당분이나 설탕, 지방이 많은 음식에 대한 욕구만 선택적으로 높입니다. 그래서 먹는 양이 많아지면 높아지는 혈당을 낮추기 위해 ‘인슐린’의 분비량이 늘어납니다. 인슐린은 혈액 속의 포도당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호르몬인데요. 제 역할을 하기 위해 포도당을 글리코겐으로 합성시켜 근육과 지방에 저장하거나, 포도당을 세포내로 이동시켜 호흡에 의한 산화를 촉진시킵니다. 

포인트는 지방 합성을 촉진한다는 겁니다. 먹은 음식이 자꾸 족족 지방으로 바뀌어 몸 이곳저곳에 저장되는 셈이죠. 특히 인체의 사지 말단(팔, 다리)은 인슐린에 민감하지 않기 때문에, 얼굴과 복부과 둔부에 살이 쌓입니다. 그러니 스트레스형 비만인 분들은 해당 부위에 살이 많이 붙습니다. 

정리하자면 ‘스트레스 받는다 → 코티솔이 증가한다 → 식욕 자극 호르몬이 증가한다→ 당분·지방이 많은 음식을 먹는다→ 인슐린이 높아진다 → 얼굴과 배, 등에 지방이 쌓인다’ 라는 과정이 반복되는 것입니다. 

앞에서 일상적 스트레스 수준에선 호르몬이 긍정적 역할을 한다고 했는데요. 사실 급성 스트레스 자극을 받으면 식욕이 떨어집니다. CRH(부신피질자극호르몬방출인자)가 교감신경계를 활성화시키는데, 교감신경이 활성화되면 각성 및 식욕 억제 효과가 나타납니다. 교감신경 활성화 상태는 커피를 마셨을 때 일어나는 일들을 생각해보시면 이해가 빠르실 겁니다. 잠도 좀 깨고, 집중도 조금 더 잘 되는 것 같고, 배고픈 것도 모르겠고 그렇죠.

이렇게 비만은 장기적 스트레스나 우울 같은 심리적 요소가 다소 작용을 하는 것입니다. 그러니 ‘먹지 마’, ‘그렇게 먹으니 살찌지’, ‘빡세게 운동을 해’ 같은 주변의 참견은 스트레스 수치만 높일 뿐입니다. 생리적 비만이 아니라 정서적 비만이라고 생각되신다면, 생활 방식을 바꾸는 게 비만을 벗어나는 핵심입니다.

31일 오후 광주 북구 중외공원에서 시민들이 만개한 벚꽃길을 산책하고 있다. ⓒ뉴시스

심리적으로 안정되는 음악을 듣는 것, 가벼운 산책을 하는 것(논문에 의하면 강도높은 운동보다 가볍고 주기적인 운동이 코티솔 수치를 정상화시킨다고 합니다), 고구마·미역 같은 고섬유질 음식을 먹는 것이 비만 개선에 도움이 됩니다. 또 음식의 향, 맛, 식감 등에 집중하면 적은 양을 먹어도 만족을 더 크게 느끼게 되는데, 이를 ‘mindful eating’이라고 합니다. 고탄수, 고지방 음식을 먹더라도 먹는 방법만 바꾸면 비만 개선에 도움이 된다는 것입니다. 

한의학 연구 결과에 따르면 침치료도 도움이 됩니다. 격일로 두달 간 족태음비경(足太陰脾經)과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의 혈자리를 치료했을 때, 81% 환자군이 스트레스 비만 조절 효과를 거뒀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그러니 비만 치료를 위해 한의사와 상담하거나 한의학 치료를 받는 것도 도움이 되겠습니다.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