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의 ‘공산당 신문·방송을 언론이라 이야기하지 않는다’는 발언이 파문을 일으키고 있다. 이 후보자는 1일 경기도 과천에 있는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에 출근하면서 “과거 선전 선동을 굉장히 능수능란하게 했던 공산당 신문 방송을 언론이라고 이야기하지 않는다. 사실이나 진실 전하는 게 아니라 주장을 전하는 것이기 때문에 우리는 그걸 기관지라고 한다”라며 “자유 민주 헌정질서에서 언론 자유를 누리는 언론은 책임 있는 보도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2009년~2010년 국정원이 방송사 간부들을 사찰하고 퇴출리스트를 작성했던 시절, ‘라디오 시사프로 편파방송 실태 및 고려사항’ ‘방송사 지방선거기획단 구성 실태 및 고려사항’ ‘KBS 조직개편 이후 인적 쇄신 추진방안’ 등의 문건을 작성한 배후로 지목된 인물이 바로 이 후보자다. 이른바 ‘방송정상화’라는 미명하에 정권을 비판하는 언론인들을 ‘좌파’로 낙인찍어 퇴출시키고 정권의 입맛대로 장악했던 일련의 흐름이 대통령 홍보수석실 주도로 이뤄졌고, 이 후보자는 당시 홍보수석이었다. ‘공산당’ 발언을 홍보수석시절 당시 ‘좌파’로 대체하면 그의 의도가 분명히 보인다.
그는 “반드시 말하고 싶은 건 언론은 장악될 수도 없고 장악해서도 안 되는 영역이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언론장악’이라는 말을 2000년대에 회자 시킨 장본인이 할 말인가. 이명박 정권 당시에도, 지금도 정권과 여당은 ‘정상화’라는 표현을 쓴다. 정권의 입맛대로 언론을 재편하는 시도를 좌편향된 언론을 ‘정상화’한다는 것이다. 때문에 이 후보자의 ‘공산당 언론’ 발언은 정권에 비판적인 언론에 대한 선전포고라 볼 수 있다.
이 후보자는 방통위원장 내정 소감으로 “영국 BBC나 일본 NHK와 같은 국제적으로 신뢰받는 공영방송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더니 며칠 뒤에는 ‘공산당 언론’ 발언을 꺼내들었다. 방송정책을 책임지려는 사람이 언론사와 언론인들에 색깔 프레임을 씌우는 나라에서 과연 국제적으로 신뢰받는 방송이 나올 수 있을까. 이명박 정권 방송장악으로 우리 사회가 겪은 혼란과 피해는 막심했다. 다시 그 때로 돌아갈 수는 없다. 이동관 후보자 같은 사람이 방통위원장이 되는 것은 사회적 재앙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