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7월까지 HUG가 대신 돌려준 전세보증금 1.6조원... 회수율은 15%

매년 늘어나는 대위변제액... 수도권, 전체 대위변제액의 90.6% 달해

부동산 규제완화 자료사진 ⓒ뉴시스

올해 들어 7월까지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집주인 대신 갚아준 전세보증금 중 실제 회수한 비율은 15%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국민의힘 김학용 의원실이 HUG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7월 발생한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사고는 2조2.637억원(9,994건) 규모로 이중 HUG가 집주인을 대신해 갚아 준 전세보증금은 1조6,512억원(72.9%)에 달했다. 하지만 현재까지 회수액은 2,442억원(14.7%)에 그쳤다.

보증사고 건수와 규모는 매년 커지는 추세다. 2018년 583억원 수준이던 HUG 대위변제액은 ▲2019년 2,837억원 ▲2020년 4,415억원 ▲2021년 5,041억원 ▲2022년 9,241억원이다.

대위변제액 회수율도 감소 매년 급감하고 있다. 2019년 58%까지 늘었던 회수율은 2020년 50%, 2021년 42%, 2022년 24%로 하락했다. 올해는 7월까지 14.7% 수준이다.

특히 수도권(서울·경기·인천)의 경우 대위변제액이 전체 90.6%(1조4,966억원)에 달했지만, 정작 회수율은 11%로 타지역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인천은 HUG의 대위변제액 4,545억원 가운데 회수액이 283억원(6%)에 그쳤다. 서울도 4,888억원 중 606억원으로 회수율이 12% 수준이다. 경기는 5,533억원 중 851억원(15%)만 회수됐다.

임차인 연령별 회수율을 살펴보면 젊을수록 회수율도 낮았다. 40대 이상 임차인은 평균 27%의 회수율을 보였지만, 30대는 12%, 20대는 4%의 회수율을 보였다. 전세사기 등으로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보증 사고 피해자가 사회초년생인 20∼30대에 집중된 탓이다.

이처럼 보증 사고가 급증하고, 회수율이 낮아지면서 HUG의 재정건전성도 나빠지고 있다. 지난 6월 기준 HUG의 지급여력비율(보험금을 제때 지급할 수 있는지 평가하는 지표)은 212%로, 2020년 532%의 절반 수준도 미치지 못한다.

여기에 전세금 보증보험에 가입한 주택 중 통상 보증사고 발생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되는 부채비율 90% 초과 주택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 22.4%, 2021년 26.3%, 2022년 24.0%였다.

김학용 의원은 "보증사고 급증으로 HUG의 대위변제액도 크게 늘어 재정건전성에 빨간불이 들어오고 있다"며 "정부 출자 및 보증 배수를 늘리는 방안으로 급한 불은 껐지만, HUG 역시 회수율을 높이기 위한 자구 노력이 수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