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장면 7천원...외식물가 고공행진 언제까지 이어질까

외식업주들 10명 중 9명 “원재료 가격 부담”...임차료·공공요금 비중도 커

자료사진 ⓒ뉴시스

8월 소비자물가가 다시 3%대로 올라서는 등 고물가 시대에 외식 물가도 고공행진을 계속하고 있다. 특히 자장면과 김밥, 비빔밥, 칼국수 등 저렴한 가격으로 서민들이 즐겨 찾는 외식 품목의 가격이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18일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종합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지난 8월 서울 지역 8개 대표 외식 품목의 평균 가격은 전년 동기 대비 최대 10% 이상 상승했다. 자장면 한 그릇이 7,000원, 칼국수는 9,000원에 가까운 가격이다. 비빔밥은 1만원을 넘어섰다.

가격 상승률이 가장 가파른 품목은 자장면이었다. 지난해 8월 서울 지역 평균 6,300원이었던 자장면 한 그릇 가격은 올해 8월 6,992원으로 10.98% 인상됐다.

비빔밥은 지난해 9,654원에서 1만423원으로 7.96% 상승했다. 냉면은 11,231원으로 지난해 대비 6.96% 올랐으며, 칼국수는 6.39%, 김밥 5.54%, 김치찌개 백반 4.85% 인상됐다. 여름 보양식으로 많이 찾는 삼계탕은 1만5,462원에서 1만6,846원으로 8.95% 올랐다. 삼겹살 1인분(200g)은 지난해보다 4.28% 가격이 오른 19,150원으로, 2만원을 넘보고 있다.

외식 물가는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상회하며 고공행진을 계속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8월 외식 물가 상승률은 5.3%를 기록했다. 외식 물가 상승률은 지난 4월 7.6%를 기록한 이후 점차 둔화되는 양상이지만,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3.4%를 상회했다. 외식 물가가 전체 물가 상승률을 상회하는 현상은 지난 2021년 6월 이후 26개월 연속으로 나타나고 있다.

외식 업계에서는 가격을 올리는 주된 원인으로 식재료 비용 상승을 꼽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발표한 '2023년 2분기 외식산업 인사이트 리포트'에 따르면 외식업체 3,000개를 대상으로 6월 15~29일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외식업주 90.38%가 메뉴 가격을 인상의 이유로 '식재료 비용의 상승'을 꼽았다

외식업주들은 식재료 중에선 채소 가격이 가장 많이 올랐다고 답했다. 농산물유통정보(KAMIS)에 따르면 8월 상추(적, 중품) kg당 가격은 지난해 같은 달 대비 12.2%, 양파(중품)는 5.9%, 파(중품)는 10.1% 상승했다.

aT가 발표한 올해 2분기 '외식산업경기동향지수'에서도 2분기 외식산업 식재료 원가지수는 143.12로, 전년도 같은 기간보다 식재료 원가가 증가했다는 업체가 감소했다는 업체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재료 원가지수는 기준치인 100보다 높을 경우 식재료 원가가 증가했다는 업체가 반대의 경우보다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조사 당시인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봐도 음식에 많이 쓰이는 생강은 지난해 대비 무려 109.4% 올랐으며, 양파 20.5%, 닭고기 13.7% 등 식재료들의 가격이 올랐다. 특히 생강은 7월 112.5%, 8월 118.2%의 높은 상승률을 지금도 유지하고 있다.

소상공인연합회 관계자는 "올해 인상요인이 굉장히 많다. 원재료 가격 상승은 물론, 식당 같은 경우에는 요즘 일손이 안 구해져서 인건비도 많이 들여야 한다"면서 "전기·가스 요금도 많이 오르는 등 인상 요인이 많은데 그런 부분이 어느 정도 반영되지 않고서는 유지가 힘드니 가격을 올리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식재료뿐 아니라 임대료, 전기·가스 요금 등 공공요금의 인상도 외식 가격 인상의 원인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발표한 '2022년 외식업체 경영실태조사'에 따르면 외식업 전체를 기준으로 매출액 중 영업비용은 88.8%며, 이중 식재료비는 36.6%를 차지했으며, 임차료, 공공요금, 세금 등 기타비용 비중은 38.8%, 인건비 비중은 13.4%로 나타났다.

특히 전기요금의 경우, 정부는 지난해 2분기부터 매분기 인상을 단행했다. 총 5회에 걸친 전기요금 인상 규모는 ㎾h당 40.4원, 39.6% 수준이다. 실제로 8월 전기·가스·수도 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21.1% 상승했다. 전기·가스·수도 물가상승률은 전기·가스 요금이 인상된 지난해 10월 23.1%를 기록한 이후 지속적으로 20%대의 상승률을 유지하고 있다.

정부는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전기·가스요금 분할납부, 고효율설비 교체사업, 냉장고 문달기 등 지원 사업을 진행 중이다. 그러나 소상공인들은 보다 실질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소상공인연합회는 소상공인을 에너지 취약계층에 포함해 지원하는 등 현실적인 지원 방안을 요구하고 있지만 정부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연합회 관계자는 "정부에서 에어컨 교체나 냉장고 문달기 등 다양하게 시도하고 있지만 예산과 규모가 많이 제한적이기도 해서 소상공인들이 많이 혜택을 못 받아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식당가 자료사진 ⓒ뉴시스

외식업주들 내년초까지 인상 예정..."실질적인 정부 지원 대책 필요"


원재료 가격과 에너지 가격 인상 현상이 계속되는 한 외식 가격 인상은 한동안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2023년 2분기 외식산업 인사이트 리포트'에 따르면 조사 업체의 38%가 최근 1년 6개월(2022년 1월~2023년 6월) 사이 가격을 인상했다고 답했다. '향후 메뉴 가격 인상 계획이 있는가'라는 질문에는 전체의 13.9%가 계획이 있다고 응답했다. 인상 계획 시기별로는 '6개월 이내'가 40.29% 가장 컸고, '3개월 이내'(12.71%), '1개월 이내'(7.91%) 순으로 나타났다. 메뉴 가격을 올리겠다고 답한 업체 중 70% 이상이 6개월 이내로 답해 내년 1분기까지 외식 물가 상승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물가 안정을 위해 외식 업계에 가격 인상 자제를 요청했지만, 지원 없이 자제만 요청하는 것으로는 현실성이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외식 프랜차이즈 업계 관계자는 "프랜차이즈 업계 입장에서는 인건비도 오르고, 가맹점주들의 입장도 고려해야 하는데 (정부에서) 너무 단편적으로 하나만 보고 이야기하는 느낌"이라며 "정부도 그렇게 이야기하면 기업 입장에서는 억제할 만큼 하겠지만, 점주들 수익성 확보라는 측면도 있고, 소비자 부담도 있어서 신중을 기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외식 업계 관계자도 "정부가 실질적으로 와닿는 대책을 해주면 소상공인들도 적극 동참할 텐데, 다른 비용은 다 오르는데 수지가 안 맞는 상황에서 가격을 동결하라고 하면 그걸 소상공인들만 감당하라고 하기에는 가혹하다"면서 "에너지 비용이라도 상쇄할 만한 대책을 마련해주면 (정부의 가격 인상 자제 요청이) 조금 더 와닿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외식산업 인사이트 리포트'에 따르면 외식업 사업자들은 외식 물가 안정을 위해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 '식재료 가격안정'(74.63%, 중복응답)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밖에 '공공요금 할인'(49.40%), '대출이자 납부 유예'(24.83%), '외국인 인력 도입 등 고용난 지원'(13.13%) 등도 필요하다고 답했다.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