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이완배 협동의 경제학] 뇌물의 경제학 - 김건희 뇌물 논란, 용서할 수 없는 이유

재미동포 통일운동가 최재영 목사가 영부인 김건희 여사에게 300만원 상당의 명품백을 선물하자 김 여사가 “어휴, 자꾸 이런 걸···, 이제 정말 하지 마세요”라고 답했다는 영상을 보고 머리에 떠오른 시답잖은 농담 한 가지.

초등학교 선생님이 아이들에게 퀴즈를 냈다. “선물을 받았을 때 여러분이 해야 하는 말은 뭘까요? 다섯 글자이고 맨 끝이 ‘다’로 끝나요.”

첫 번째 아이의 답. “감사합니다.”
두 번째 아이의 답. “고맙습니다.”
매우 창의적인 세 번째 아이의 답. “뭘 이런 걸 다.”

김건희 여사의 명품백 수수 의혹이 가관이다. 입만 열면 법치 따지는 대통령실은 이 중대한 뇌물 사건에 아예 입을 닫는다.

질문 하나에 답변 십여 개로 받아치는 말빨을 자랑하던 한동훈 법무부 장관은 “언론에 상세한 보도가 안 나왔기 때문에 내용을 잘 모른다”며 발뺌이다. 상세한 보도가 안 나왔다고? 내가 본 그 수많은 보도는 뭔가? 열라 상세하던데?

이른바 뭉개기 전략을 구사하려는 것 같은데 웃기는 이야기다. 이게 그런다고 뭉개고 넘어갈 수 있을 성 싶은가? 한국은 집권자의 뇌물 스캔들을 그러려니 넘어가주는 후진 사회가 아니다. 윤 대통령의 전략이 뭉개기라면, 그는 한국 사회를 너무 얕잡아보고 있다.

우월전략과 뇌물의 위험성

김 여사에게 전달된 명품백은 명백히 뇌물이다. 그리고 선진사회일수록 이런 뇌물 스캔들을 결코 간과해서는 안 된다. 그 후유증이 너무 클 뿐더러 이후 사회의 공정성을 심각하게 훼손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뇌물이 왜 기승을 부리는가? 경제학 게임이론의 설명을 빌리자면 이렇다. 김건희 여사 앞에 A와 B 단 두 사람이 있다 치자. 이 두 사람은 김 여사에게 뇌물을 쓸까 말까 선택의 기로에 놓여 있다. 이때 A는 두 가지 상황을 가정한다. 상대인 B가 김 여사에게 뇌물을 쓰느냐 마느냐가 바로 그 두 가지 상황이다.

첫째, 상대인 B가 뇌물을 썼다고 생각해보자. 이때 A가 뇌물을 안 쓰면 B만 이익을 얻고 A는 불이익을 받는다. 그렇다면 이걸 막기 위한 A의 선택은 하나다. 똑같이 김 여사에게 뇌물을 써서 불이익을 막는 것이다.

둘째, 상대인 B가 뇌물을 안 썼다고 가정해보자. 이때 A도 양심적으로 뇌물을 안 쓰면 그냥 공정한 경쟁 상황이 벌어진다. 하지만 이때 A가 마음을 바꿔 김 여사에게 뇌물을 쓰면 A가 이익을 얻는다. 이럴 때에도 당연히 A는 뇌물을 쓰는 것이 유리하다.

무슨 말이냐? A는 B가 뇌물을 쓰건 안 쓰건 무조건 뇌물을 쓰는 것이 유리한 상황이라는 이야기다. 이것을 게임이론에서는 우월전략이라고 부른다.

문제는 B도 마찬가지 상황이라는 점이다. B 역시 뇌물을 쓰는 게 우월전략이다. 그래서 이런 선택의 상황이 되면 A와 B 모두 김 여사에게 뇌물을 쓴다. 이게 바로 뇌물이 통용되는 사회의 무서운 점이다.

이 이론을 바탕으로 추정해보면 김건희 여사는 절대 저 명품백을 그 목사로부터만 받은 게 아니다. 그렇게 보기에는 뇌물을 주고받는 모습이 너무 자연스럽다. 이 말은 김건희 여사에게 줄을 대려는 A뿐 아니라 B도 뇌물을 줬음이 분명하다는 뜻이다. 어디 B뿐이랴? C도, D도, E도, F도··· 모두 뇌물을 준 것이 확실하다. 그게 경제학의 가르침이다.

우월전략의 확대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다시 김 여사 앞에 A와 B 둘만 있는 상황을 가정하자. 첫 번째 판에서 A와 B는 모두 우월전략을 구사해 명품백이건 향수건 김 여사에게 날름 바쳤다.

그런데 그 결과는? 양쪽 다 뇌물을 구사했기 때문에 양쪽 다 뇌물을 구사하지 않은 것과 똑같은 상황이 된다. 즉, 기껏 뇌물을 썼는데도 공정한 경쟁 상황이 다시 벌어졌다는 이야기다.

김건희 여사가 명품백 받는 장면 ⓒ서울의소리 유튜브 화면 캡쳐

이러면 판은 다시 처음으로 돌아간다. 그 공정 경쟁 상황에서 A와 B는 또 다시 김 여사에게 추가 뇌물을 줄지 말지를 고민해야 한다. 그런데 이 상황에서도 결과는 마찬가지다. 아무리 고민을 해도 A와 B 모두 추가 뇌물을 주는 것이 우월전략이다.

그러면 A와 B 모두 다시 김 여사에게 뇌물을 바치는 악순환이 시작된다. 이 이론에서 우리가 또 다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김 여사에게 뇌물을 준 사람은 절대 한 번만 준 게 아니라는 뜻이다.

최 목사가 300만 원 상당의 명품백을 전했을 때 김 여사가 “어휴, 자꾸 이런 걸”이라고 답한 대목이 바로 그 증거다. 여기서 핵심은 ‘자꾸’다. 이게 한 번으로 끝날 일이 절대 아니라는 뜻이다. 게다가 상황이 반복될수록 뇌물의 액수는 당연히 더 커진다. 그게 바로 게임이론이 가르쳐주는 우월전략의 무서운 점이다.

이런 사태를 막는 방법은 하나밖에 없다. 뇌물은 범죄다. 그 범죄에 대한 단호한 처벌을 내려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이 사태는 걷잡을 수 없이 번진다. 만약 이번 사태가 별다른 처벌 없이 마무리된다고 가정해보라.

와, 쟤도 뇌물을 줬어? 그럼 나도 줘야겠네? 이렇게 생각하는 B부터 Z까지 오만 날파리들이 김 여사 앞에서 알짱댈 것이다. 아니, 이미 이런 사태는 벌어졌을지도 모른다. 그리고 그 날파리들은 새로운 우월전략을 위해 더 많은 뇌물을 준비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대통령 하나 잘 못 뽑았더니 진짜 나라가 멍멍이판이 되고 있다. 뇌물은 단호한 단죄만이 막을 수 있다. 대통령이 이걸 뭉개고 넘어간다고? 이걸 뭉개주면 한국 사회는 이제 뇌물이 우월전략으로 판을 치는 후진 사회로 퇴보할 것이다. 결단코 이 사건을 좌시할 수 없는 이유다.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