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탄희 의원 등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26일 국회 소통관에서 선거제도 관련 기자회견을 마친 뒤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있다. 2024.01.26. ⓒ뉴스1
더불어민주당 의원 80여 명은 26일 재야·시민사회에서 제안한 민주·개혁·진보진영 총선 연대에 지지 의사를 밝히며, 이를 실현하기 위한 지도부의 ‘선거연합’ 결단을 촉구했다. 이들은 당 일각에서 나오는 ‘병립형 비례대표제 회귀’ 주장은 “윤석열 심판 민심을 분열시키는 악수 중의 악수”라고 비판했다.
이탄희·강민정·김두관·김상희·이학영 등 민주당 의원 81명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병립 퇴행은 소탐대실, 명분 잃고 실리도 잃는다”며 “제 시민사회단체가 일치된 목소리로 제시한 제안을 지지·환영한다. 민주당이 선거연합 논의에 적극적으로 임해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정치개혁, 연합정치에 뜻을 같이하는 시민사회 각계 인사 230여 명은 지난 23일 ‘정치개혁과 연합정치를 위한 시민회의’를 발족하고, 총선에서 윤석열 정부 심판에 나설 민주·개혁·진보 대연합 구체화를 위해 ‘정당·시민사회 연석회의’ 개최를 제안했다. 민주·개혁·진보 대연합 구상은 ▲여권 후보와 범야권 후보 1대1 구도 구축을 위한 지역구 연합 ▲연동형 비례대표제 유지에 기초한 비례대표 후보 추천 연합 틀을 전제로 한다.
민주당 의원 81명은 “민주당이 국민의힘과 야합해 병립형으로 돌아가면 민주진영 분열의 명분을 주는 것”이라며 “‘대의명분 없는 약속 대련'이라는 프레임으로 공격 대상이 될 수밖에 없다. 선거 기간 내내 제3지대, 시민단체의 공세에 시달리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들은 “총선에서 다시 ‘윤석열 정부 대 민주·개혁·진보 세력’의 구도를 강화하고, 그 결과로써 정부·여당의 의석수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윤석열 정부 견제·심판 민심이 분산되는 것을 막음으로써 지역구 최대 의석 확보를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며 “(병립형 회귀 시) 수도권, 충청, 강원, 부산·울산·경남 등에서 표 분산으로 경합지역이 늘고, 0.73%포인트 차이 대선 패배의 악몽이 지역구에서 재현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이들은 “여러 정당의 연대·연합을 통해 다양한 유권자들을 투표장으로 불러 투표율을 높이고, 민주주의의 위기가 심화되지 않도록 막아야 한다”며 “비례 선거제에 대한 당내 논의가 충분히 이뤄진 만큼 지도부를 중심으로 제도적인 결단이 지체없이 이뤄져야 한다. 총선 민주·개혁·진보 대연합 논의에 민주당이 적극적으로 임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했다.
4선 중진 김상희 의원은 “공천 작업이 진행 중인데도 정치권이 비례대표를 어떻게 뽑을지, 논의를 주도적으로 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민주·진보 시민단체, 원로들께서 대연합할 수 있도록 상황 조정에 나선 것이다. (민주당이) 적극적으로 테이블에 참여하라는 것”이라며 “결정적인 전환점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날 기자회견을 주도한 이탄희 의원은 “병립형으로 퇴행하는 게 ‘민주당이 (비례대표) 의석 한 석이라도 가질 수 있는 것’이라는 일부 의견이 있는데, 그 부분에 대해서는 (당내) 이견이 있다”며 “실리적 측면에서도 병립형 퇴행이 오히려 손해일 수 있다는 강력한 반론이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