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는 지난해 매출 14조 3,726억원, 영업이익 9,980억원을 기록했다고 7일 밝혔다.
매출은 2022년에 비해 3.4% 늘었으며 전체 매출에서 단말 매출을 제외한 서비스매출도 2.0% 증가했다. 매출 성장 배경에는 5G 보급률, 해지율 등 MNO 사업의 질적 성과와 MVNO 양적 확대에 힘 입은 모바일 사업 성장과 더불어 IDC, AICC(인공지능컨택센터) 등 B2B 신사업이 포함된 기업인프라 부문의 매출 증대가 주효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영업이익은 전력료 인상과 함께 사이버 보안 투자 확대에 따른 비용 영향으로 전년 대비 7.7%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연간 CAPEX(설비투자)는 기지국 구축과 사이버 보안 투자 증가로 전년 대비 3.9% 늘어난 2조 5140억원을 집행했다.
올해 LG유플러스는 B2C·B2B 등 전 고객이 AI 기술을 경험할 수 있도록 디지털 혁신(DX)에 사업 역량을 결집한다.
통신 사업에서는 통신, 플랫폼 데이터를 학습시킨 AI ‘익시젠’을 자사 서비스에 탑재해, 챗봇의 진화 형태인 ‘챗에이전트’를 선보인다. LG유플러스는 챗에이전트가 고객과 대화를 나누면서 사용 패턴 및 당면한 문제를 파악하고 추천 요금제와 해결법을 선제적으로 제시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구현할 예정이다.
또한 AI가 고객의 말을 실시간으로 이해해 상담원이 즉각적으로 대응 가능하게 도움을 주는 ‘상담 어드바이저’로 고객서비스(CS)도 한 단계 진화시킨다. 이 외에도 오프라인 직영점 및 네트워크 운영에도 AI를 도입해 품질과 효율 증대에 주력할 계획이다.
B2B 사업에서는 구축형 AICC ‘U+ AICC 온프레미스’의 서비스를 고도화함과 동시에 구독형 AICC ‘U+AICC 클라우드’와 소상공인 전용 ‘우리가게 AI’ 사업 영역에 집중해 ‘B2B AI 3대 서비스’를 구축,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키워낸다는 전략이다.
지난해 9월 출시한 U+AICC 클라우드는 즉시 고객센터에 AICC를 적용해 빠른 사용을 원하는 중견그룹 및 중소 기업을 위한 서비스다. 별도 구축 없이 고객이 원하는 콜센터 인프라와 AI 솔루션을 연동해 월 정액 형태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 강점이다.
또한 지금까지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제공했던 AI 서비스에 ‘예약’, ‘대기’ 등 신규 AI 기술을 더한 ‘우리가게AI’를 출시해 예약, 주문, 결제, 홍보 등 사업의 전 영역을 AI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상품 경쟁력을 지속 강화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