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이 8일 서울역에서 설 귀성 인사를 하던 중 해병대 예비역들의 기습 시위를 맞닥뜨렸다. 이들은 한 위원장에게 고 채 사병 사망 사건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검법안 통과와 전 수사단장이었던 박정훈 대령에 대한 탄압 중단을 호소했지만, 경찰 등에 의해 가로막혔다.
이날 해병대 예비역 연대 회원 10여명은 서울역 플랫폼에서 귀성 인사 중인 한 비대위원장을 향해 “채 상병 특검법 통과하라”는 구호를 외쳤다. 이들은 ‘채 상병 특검법 통과! 박정훈 대령 탄압 중지!’가 적힌 손팻말을 높이 들어 보이기도 했다.
한 비대위원장은 해병대 예비역 연대 회원들이 모인 쪽을 잠시 쳐다보더니 이내 시선을 거뒀다. 경찰은 해병대 예비역 연대 회원들이 한 비대위원장에게 가까이 가지 못하도록 이들을 에워쌌다. 한 비대위원장 등이 현장을 떠난 뒤에도 경찰은 한동안 이들의 길을 막아섰다. 경찰은 “위험 행동을 했기 때문에 범죄 예방을 위해 제지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한 비대위원장에게 채 상병 특검법을 통과시켜달라는 얘기를 전하고자 할 뿐이었는데, 왜 막느냐며 강하게 항의했다.
이들은 손피켓 뒷면에 한 비대위원장에게 보내는 편지를 적어 왔다. 편지에는 “순직 장병 가족과 생존 장병, 그 가족들은 끝없는 고통의 나날을 살아가고 있다. 수사를 맡은 박정훈 대령은 항명 혐의로 재판을 받으러 다닌다”며 “온 국민이 기쁨으로 가득한 설 명절, 그분들의 가정에는 기쁨이 있을까”라고 적었다. 이어 “피해자들이 회복하기 위해 그날의 진상을 밝히고 책임자를 처벌하는 게 선결 과제”라며 “국회에서 채 상병 특검법을 통과시켜 채 상병의 원혼을 달래주고 그 가족의 회복을 앞당겨 주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다만, 이 편지는 한 비대위원장에게 전달되지 못했다.
해병대 예비역 연대 한 회원은 한 비대위원장에게 “국가를 위해 헌신한 국군장병이 순직했고, 국민의 73%가 이 일에 주목하고 특검법을 통과시켜야 한다고 답했다. 더 이상 외면하지 말고 특검법을 통과시켜 주길 바란다”고 호소했다.
한편, 채 상병 특검법안은 지난해 9월 발의됐지만 제대로 논의되지 못하고 있다. 야당은 그해 10월 이 법안을 신속처리안건(패스트트랙)으로 지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