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거래 즉시 반영한 ‘부동산 가격지수’ 나온다... 6월 첫 보고서 발표

거래정보망 '한방' 활용 빅데이터 구축... 중개사고 데이터와 가격지수 시스템으로 재가공

한방 거래정보망 화면 ⓒ한국공인중개사협회 제공

부동산 실거래 가격을 즉시 반영하는 부동산 가격지수가 나온다.

한국공인중개사협회는 부동산 계약을 체결하는 즉시 실거래가를 자동으로 DB화하고 이를 활용해 각종 데이터를 분석, 부동산시장 향후 흐름까지 추정할 수 있는 ‘부동산 가격지수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고 13일 밝혔다.

협회에 따르면 작년 7월 개발에 들어간 이 시스템은 올해 5월 완료 예정이며, 6월 첫 분석 보고서를 공개할 예정이다. 그리고 12월부턴 부동산 가격지수를 공표할 계획이다.

현재 국내 주택가격지수는 한국부동산원(부동산원)과 KB부동산이 만들고 있다. 부동산원 가격지수는 계약 완료 후 신고까지 최장 1개월의 시차가 발생하는 국토교통부 매매거래 신고데이터를 근거로 하고 있어 실시간 시장 흐름 파악에 한계가 있다. KB부동산도 소속 조사원의 조사 결과 등을 지표로 활용하기 때문에 표본이 많지 않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 때문에 두 지수 간에도 차이도 나타났다.

반면 협회가 개발 발표 중인 ‘가격지수 시스템’은 개업공인중개사 80%가 부동산 계약시 이용하고 있는 한방 거래정보망 시스템에 등록된 데이터를 즉시 DB화하기 때문에 실시간 거래내역이 통계에 반영된다.

협회는 “실제 작성된 계약서를 근거로 데이터를 수집하기 때문에 신뢰도가 높고, 국내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거래를 데이터화 할 수 있다”며 “아울러 허위 실거래가 신고 등 거래가격 이상 징후 포착이 가능해 공공 데이터로써 활용 범위가 더욱 넓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협회는 수집된 빅데이터를 분석하는 ‘가격지수 시스템’을 통해 그동안 국내에 제공되지 않았던 부동산 관련 정보도 서비스한다는 계획이다. 세부적으로는 ▲부동산의 지역 및 유형별로 가격변동 추이 ▲거래 완료 비율 ▲거래 완료 기간 분석 ▲매수인과 매도인의 연령 ▲개인/법인 여부 ▲내국인/외국인 구분 ▲공동 소유 여부 조회 및 변동 추이 등이다.

이종혁 한국공인중개사협회장은 “지금까지 공인중개사는 부동산 거래시장의 1차적 데이터 생산자였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는 아쉽게도 이들을 가치 있게 활용하지 못했다”며 “협회는 공인중개사의 생산데이터를 재가공한 유의미한 공익정보를 국민에게 제공함으로써 더욱 안전하고 투명한 시장조성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