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의료계 집단행동 시 공공의료 비상체계...비대면 진료 허용”

한덕수 국무총리가 19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관계 장관 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4.02.19. ⓒ뉴스1

의과대학 정원 확대에 반발하는 의료계 집단행동 예고에 한덕수 국무총리는 19일 “상황이 악화될 경우, 공보의와 군의관을 투입할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한 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의사 집단행동 대응 관계 부처 장관 회의’를 열고 “정부는 전국 409개 응급의료 기관의 응급실을 24시간 운영해 비상진료에 차질이 없도록 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한 총리는 “응급·중증 수술을 최우선으로 대응하고, 필수 의료 과목 중심으로 진료가 이뤄지도록 체계를 갖추겠다”며 “공공의료 기관의 비상진료체계도 가동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97개 공공병원의 평일 진료 시간을 확대하고, 주말과 공휴일에도 진료하도록 하겠다. 12개 국군병원 응급실을 민간에 개방하고 필요시, 외래진료까지 확대하겠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한 총리는 “집단행동 기간 동안 비대면 진료도 전면 허용할 계획”이라며 “관계 부처는 병원별 비상 진료 준비 상황을 철저히 점검하고, 문 여는 의료기관과 비대면 진료 이용 정보를 국민들이 알기 쉽게 충분히 안내해달라”고 주문했다.

그러면서 “의사 단체가 지금이라도 집단행동 계획을 철회하고 국민과 의사 모두를 위한 정부의 의료 개혁에 동참해 준다면, 더 빠르고 더 확실하게 의료 개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