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은 11일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김건희 여사 소환 방침을 세웠다는 언론 보도와 관련해 “특검 방탄용 아닌가”라며 의구심을 표했다.
민주당 황정아 대변인은 이날 서면 브리핑을 통해 “1심에서 공범들의 유죄 판결이 나온 지 1년이 넘었고 항소심도 선고를 앞두고 있다. 검찰이 김건희 여사 모녀가 주가조작 사건으로 23억원의 수익을 얻었다는 의견서를 제출한 지도 한참이 지났다”며 이같이 비판했다.
황 대변인은 “김 여사의 주가조작 연루 정황이 끝도 없이 드러났지만, 검찰은 4년간 단 한 차례 서면 조사만 했을 뿐 소환 조사를 뭉개왔다”며 “그런데 갑작스럽게 ‘소환 방침’이라니 황당하다”고 지적했다.
황 대변인은 “당연한 일이지만, 검찰의 의도에 의심을 지울 수 없다”며 “총선 참패로 김건희 여사 특검법이 가시화되자, 특검 방탄용 보여주기 수사에 나서는 것 아닌가”라고 따져 물었다.
황 대변인은 “검찰은 윤석열 정부 2년 동안 대통령의 직할기관처럼 움직이며 내로남불, 불공정의 화신이 되었다”며 “그런 검찰이 들고 나온 ‘소환 방침’은 국민을 우롱하는 방탄용 ‘꼼수’라는 의심을 지울 수 없다”고 날을 세웠다.
그러면서 “민주당은 검찰의 소환 방침에 상관없이 국민께서 명령하신 김건희 여사 특검법을 관철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1월, 야당 주도로 국회를 통과한 김건희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 조작 의혹을 규명할 특검법에 대해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한 바 있다. 당시 대통령실은 거부권 행사에 대해 여야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고, 총선용 여론조작을 목적으로 만들어졌다는 이유를 댔다. 윤 대통령은 지난 9일 열린 취임 2주년 기자회견에서도 김건희 여사 특검법과 관련해 “정치공세”라고 비난한 바 있다. 하지만 민주당 등 야당은 22대 국회 개원과 함께 김 여사 특검법을 재추진하겠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