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상규 국민의힘 당헌·당규 개정특별위원회 위원장이 12일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당헌당규 개정 특별위원회 결정사항을 발표하고 있다. 2024.6.12. ⓒ뉴스1
국민의힘이 결국 ‘단일지도체제’를 유지하기로 했다.
일각에서 당대표가 대통령에게 휘둘리는 것을 막기 위해 ‘집단지도체제’로 바꿔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한 바 있지만, 결국 대통령에게 휘둘리기 쉽다는 현 지도 체제를 유지하기로 한 것이다.
여상규 국민의힘 당헌·당규개정특별위원회 위원장은 12일 서울 여의도당사에서 회의가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현행 단일대표체제, 부대표를 두는 복수지도체제, 그리고 집단지도체제 이 세 가지 안을 놓고 많은 논의를 했지만, 짧은 기간 동안 활동하는 특위에서 결정하기보다는 새 지도부에서 시간을 충분히 가지고 심도 있게 논의한 후 결정하는 게 타당하다는 게 다수 의견이었다”면서 개정안을 내지 않은 이유를 설명했다.
특위에서는 ‘집단지도체제’보다는 부대표를 두는 ‘복수지도체제’에 대한 논의가 주로 이루어졌던 것으로 보인다. 이날도 여 위원장은 “지도체제 중 새로 등장한 2인 지도체제는 많은 장점이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총선 등 특별한 행사가 있을 때마다 당 대표가 책임져야 할 문제가 생기고, 그러면 당 대표가 사퇴하면 비대위 체제로 가야 했다”면서, 이 같은 이유로 “지난 2년간 비대위 체제가 4번이나 등장했다”고 짚었다. 이어 “당대표 경선에서 1위를 한 분이 당대표를 하고 2위를 한 분이 부대표 비슷한 지위로 활동한다면, 당대표가 잘못됐을 때 부대표가 대행할 수 있는 제도”라며 “당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국민의힘에서는 총선 패배 후 패배 원인을 분석하는 여러 토론회가 열린 바 있다. 지난 4월 19일 열린 ‘2024 총선 참패와 보수 재건의 길 세미나’에서는 “대통령에게 휘둘리지 않는 지도부를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 바 있다. 박성민 정치컨설팅 ‘민’ 대표는 “집단지도체제를 만들어서 당대표가 대통령에게 끌려다니는 것을 막아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한편, 지도체제는 현행을 유지하기로 했지만, 특위는 당대표 선출 관련해 일반 국민 여론조사를 일부 반영하자는 쪽으로 의결했다. 다만, 반영 비율을 20%로 할지 30%로 할지 결정하지 못해 두 개 안을 모두 비상대책위원회로 넘기기로 했다.
이날 특위가 의결한 당헌·당규 개정안은 비대위를 거쳐 전국위원회에서 의결해야만 최종적으로 확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