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경호처장이 임성근 구하기 배후’ 보도에, 경호처 “허위날조”

대통령 경호처 “반드시 법적 책임 묻겠다”

윤석열 대통령과 김용현 대통령 경호처장 ⓒ대통령실 제공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의 ‘컨트롤타워’인 이종호 씨의 육성 녹취가 공익제보로 보도되면서, ‘채 상병 순직사건 및 수사외압 사건’이 점점 더 명확해지고 있다. 채 상병 순직사건에서 책임자로 지목된 임성근 전 해병대 사단장을 구명하기 위해 로비를 했다는 취지의 이종호 씨 발언이 드러나면서다.

다만 ‘누가 대통령실을 움직였느냐’ 등은 의문으로 남아 있었는데, 공익제보자와 전 경호처 직원의 전화통화 녹취에 ‘김용현 대통령 경호처장이 구명의 배후’라고 언급하는 내용이 있다는 ‘한겨레’ 보도가 15일 나왔다.

그러자, 대통령 경호처는 “허위날조”라며 “법적 책임을 반드시 묻겠다”는 입장을 냈다.

대통령 경호처는 이날 “김용현 경호처장은 임성근 전 사단장의 구명을 위해 일체 관여한 바가 없다”면서 “지난 6월 말에 이뤄진 전 경호처 직원과 공익제보자의 통화 내용을 근거로 임성근 전 사단장 구명 로비설을 제기하는 것은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허위날조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한겨레는 전 경호처 직원과 공익제보자의 통화내용을 명백히 밝혀라”라고 요구했다.

그러면서 “기사에서 (한겨레는) 임 사단장 구명에 나선 정황이 담긴 통화내용이 있는 것처럼 언급하며 (김용현 처장이) 구명의 배후임을 시사했다. 하지만 김 처장은 임 사단장과 일면식도 없을 뿐만 아니라 구명 관련한 통화를 하거나 문자 등을 보낸 일이 없음을 명백히 밝힌다”고 했다.

한겨레는 이날 전직 경호처 간부 A 씨가 올해 6월 말 공익제보자 B 변호사와의 통화에서 ‘전직 경호처 사람 등을 만나보니 임 전 사단장 구명의 배우가 김용현 경호처장이라고 한다’는 취지의 말을 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보도했다. 그러면서도 김 처장을 구명 배우로 언급한 근거 등은 구체적으로 확인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B 변호사는 이종호 씨의 임성근 전 사단장 구명로비 발언 등을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에 알린 인물이다. 이종호 씨와 B 변호사, A 씨 등은 모두 해병대 출신으로, 임 전 사단장과의 골프모임을 추진하던 카카오톡 단체대화방 구성원이다.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