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이종찬 광복회장의 의로운 싸움을 응원한다

독립유공자와 그 후손들의 단체인 광복회가 8.15 광복절 행사불참을 선언했다. 안중근의사기념사업회 등 25개 독립운동가 선양 단체로 구성된 항일독립선열선양단체연합도 같은 목소리를 냈다. 앞자리에는 신흥무관학교를 세운 우당 이회영 선생의 손자 이종찬 광복회장이 섰다. 그는 10일 광복회학술원 운영 행사 특강에서 “1948년 건국절 추진하려는 태도를 바꾸지 않는 한 대통령 초청 영빈관 행사 뿐만 아니라 광복절 경축 기념식에도 나갈 뜻이 없다”고 말했다. 나와달라고 대통령실에서 회유책을 펼쳤지만 ‘건국절 제정 추진을 안하겠다’고 하지 않으면 안 나간다는 말도 덧붙였다.

이회장은 “(1948년 정부수립이 건국이라면) 그 이전의 역사는 나라가 없었다는 일본정부의 주장을 우리가 인정하는 것”이고, “1948년 전 일본의 한반도 침탈시기에 강제 맺은 을사늑약(1905)이나 한일강제병합(1910)을 모두 합법화시켜주자는 논리”라고 지적한다. 아울러 “만일 여기서 물러서면 위안부, 강제징용도 우리가 일본 신민이었기 때문에 일본인으로서 자발적인 것이 되어 강제성이 없는 ‘일본 뜻대로’ 모든 입장이 돌아서는 엄청난 매국행위가 되는 것”이 되니 “건국절은 일본의 침탈을 합법화시켜주는 매국적인 행동”이라고 질타했다. 이 회장의 이런 생각은 국정교과서를 통해 뉴라이트 역사관을 학생들에게 강제로 이식하려던 박근혜 정권에 철퇴를 내려 국가적 정통성을 획득한 주장이다.

이 회장은 김형석 신임 독립기념관장을 포함해 뉴라이트 인사들은 일제 강점기 시절의 ‘밀정’과 같다고도 주장했다. 대통령 주변에 일제 밀정들이 가득차 있다는 것이다. 독립운동가의 후손, 그 얼을 지키자는 사람들과 현 정부가 일제 식민지배의 성격과 독립운동에 대해 정면으로 부딪치는 모양새다. 하지만 양자 모두 퇴로가 보이지 않는다. 사람 몇 명 바꿔서 해결 될 일이 아니다. 문제의 중심에 대통령이 있기 때문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미 지난해 광복절 경축사에서 “독립운동은 자유민주주의 국가를 만들기 위한 건국운동”이라고 말한 바 있다. 자유민주주의 가치를 공유하는 일본과 안보협력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전자는 현재 건국절 제정 조짐으로 후자는 한일군사동맹 추진으로 발전하고 있다. 뉴라이트 역사관과 일본의 재무장이 만나는 지점 위에 대통령이 서 있다. 그래서 이종찬 광복회장의 싸움은 우리 모두의 싸움이 됐다. 광복회와 독립기념관 갈등 문제도 아니고 여와 야, 진보와 보수의 문제도 아니다. 일제 식민지배에 대한 선열들의 저항을 지지하고 군국주의 재무장에 반대하는 모든 사람들의 싸움이다. 이 회장의 분투를 응원한다.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