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아무리 그래도 차별금지법을 반대하는 인권위원장 후보라니

윤석열 대통령의 인사가 비판을 받은 건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최근만 해도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 김문수 노동부 장관 후보자,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등 하나같이 부적절하고 부적격한 인사였다. 그러나 이들은 대통령 직속이거나 내각 소속이거나 최소한 정부 산하의 공공기관이니 백 보를 양보해 참을 수도 있다.

하지만 UN의 파리원칙 등에 기초해 설립된 입법, 행정, 사법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독립적 국가기관인 국가인권위원회에 안창호 전 헌법재판관을 임명하겠다는 건 도저히 이해할 수도, 용납할 수도 없다. 일각의 지적처럼 "인권 전문성이 부족한 사람이 위원장에 지명된 적은 있어도 정반대의 입장을 가진 인물을 지명한 적은 한 번도 없"기 때문이다. 인권위의 힘을 빼기 위해 노력했던 이명박, 박근혜 정부도 이 정도는 아니었다.

인권위는 이미 이 정부 들어 임명된 김용원, 이충상 상임위원의 어처구니없는 행태에 만신창이가 되고 있다. 두 사람은 인권에 대한 초보적 이해도 없이 자신을 비판하는 인권위 내외의 목소리에 대해 '좌파'라고 비난하면서 인권위를 망치는 데만 열중해 왔다. 여기에 안 전 재판관이 인권위원장이 된다면 인권위는 더 이상 시민들의 인권을 보장하고 보호하는 독립적 기관으로 유지되기 힘들 것이 분명하다.

안 전 재판관은 차별금지법, 양심적 병역거부, 낙태죄, 사형제 등 우리 사회의 주요 인권 쟁점에서 국제사회와 인권위가 견지해왔던 입장에 정면으로 반대해 온 인사다. 그의 입장은 대체로 보수 기독교적 입장에서 출발해 밑도 끝도 없는 '반공'으로 끝났다. 안 전 재판관은 차별금지법 도입이 "기독교의 위축과 억압으로 이어질 것"이라든가 "성적 소수자에게 실질적 특혜를 제공하고 그 이외의 사람은 광범위한 역차별을 받을 것"이라는 편향적 판단에서부터 "공산주의 혁명으로 가는 '긴 행진'의 수단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는 황당한 주장까지 내놓은 바 있다.

2010년 현병철 인권위원장의 전횡에 항의해 사임한 문경란 상임위원의 지적을 되새겨본다. 문 상임위원은 사임의 변에서 "위원회의 독립성이야말로 인권지킴이의 소임을 다하기 위한 최소한의 장치이자 생명과 같은 것"이라고 말했다. 문 위원은 국민의힘의 전신인 한나라당이 추천한 인사였다. 문 위원이 지적한 현병철 체제의 인권위도 지금과 같은 난맥과 파행, 뒷걸음질은 아니었다. 지금 우리 사회가 이명박 정부 시절을 그리워해야 하는가.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