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한동훈 대표 회담, 9월 1일로 합의

의제는 “협의 중”...의료대란 의제 포함 여부는 이견

(이재명 대표와 한동훈 대표 자료사진) 지난 2023년 12월 29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서울 여의도 국회 민주당 대표실을 예방한 한동훈 국민의힘 당시 비상대책위원장과 악수를 나누고 있다. 2023.12.29. ⓒ뉴시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의 ‘여야 대표 회담’이 오는 9월 1일 열린다.

29일 민주당·국민의힘 당대표 비서실장이 각각 진행한 브리핑에 따르면, 양당은 이 대표와 한 대표의 회담을 내달 1일 오후 2시 국회 본처에서 열기로 했다. 회담은 양당 정책위의장과 수석대변인이 배석하는 형태로 진행되며, 양당 대표가 각각 모두발언을 한 뒤 비공개 형식으로 회담을 진행한 후, 수석대변인이 회담결과를 발표한다.

민주당 이해식 비서실장은 “양당 입장 차가 분명하고 채 해병 특검법 관련한 한 대표의 입장이 번복되면서 회담 성과가 매우 회의적일 거라는 당내 여론에도 불구하고, 민생경제 위기와 의료대란 등으로 국민의 고통이 극심하고 정기국회를 앞둔 시점에서 정치회복이 긴요해, 이 대표는 회담 개최에 합의했다”라고 밝혔다.

다만, 양당은 아직 회담 의제를 정하지 못했다.

이 비서실장은 “그동안 실무회담을 통해서 여러 가지 구체적으로 대화를 나누긴 했지만, 그것을 딱 의제로 합의했다고 말하긴 좀 이르다”면서 “내일 정도에 다시 만나서 마지막으로 의제를 조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국민의힘 박정하 비서실장 역시 “구체적인 의제는 이해식 비서실장과 추후에 다시 협의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의료대란 문제가 가시화되고 있는 만큼 이에 대한 논의도 이루어질 것이라고 예상됐지만, 의제에 포함하느냐와 관련한 양당의 입장은 달랐다.

이 비서실장은 “지난 실무회담 때 저희 측이 먼저 제안했다”면서 “의료대란을 반드시 의제로 다뤄야한다고 의견을 전했고, 이에 대해 합의한 것은 아니지만, 국민의힘도 의제로 다룰 의사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의료대란, 의대정원, 의정갈등 이것은 주요 의제로 확실히 다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반면, 박 비서실장은 “의대정원 증원 유예안 포함한 의정갈등 문제는 국회에서 법이나 예산을 통해 해결할 문제가 아니기에, 저희 당은 의제로 다루지 않을 예정”이라며 “우선 이 건에 대해서는 정부와 의협 사이의 대화 결과를 봐야 할 상황”이라고 밝혔다.

한동훈 대표 측은 공개 회담을 요구한 적 있으나, 모두발언 외 본 회담은 비공개로 이루어진다. 박 비서실장은 “민생해결을 위해 대표 회담이 성사되는 게 중요하다고 판단해서 생중계 건은 양보했다”고 말했다.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