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의료대란 불안' 달래기 나선 윤 대통령 "정부 안내 따르면 걱정 없어"

여야의정 협의체 언급, 대국민 사과 등은 빠져..."재정 투입해 응급실 의료 인력 최대한 확보"

윤석열 대통령이 10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제39회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4.09.10. ⓒ뉴시스

추석을 앞두고 '의료 대란'에 대한 국민의 불안이 가중하는 가운데, 윤석열 대통령은 10일 "정부의 안내에 따라주면 걱정 없이 의료 서비스를 받으실 수 있다"며 여론 달래기에 나섰다.

윤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며 "정부는 추석 연휴 기간 동안 중앙과 지방이 함께 특별대책을 수립해 응급의료 체계가 차질 없이 가동되도록, 국민께서 걱정하지 않으시도록 총력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내일부터 25일까지 2주간을 '추석 연휴 비상 응급 주간'으로 운영하고, 당직 의료기관을 지정해 연휴 의료 이용에 차질이 없도록 하겠다"며 "특히 이번 추석 연휴에는 지난 설이나 예년에 비해 훨씬 많은 병의원이 당직 의료기관으로 신청해 줬다"고 밝혔다.

이어 "국민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 참여해 준 병의원, 약국을 비롯한 의료기관 관계자와 간호사 여러분에게 감사하다"며 "더 많은 의료기관이 참여해 주길 부탁한다"고 했다.

또한 윤 대통령은 "정부는 의료인들의 헌신에 조금이라도 보답하기 위해 추석 연휴 전후 한시적으로 진찰료, 조제료 등 건강보험 수가를 대폭 인상하기로 했다"며 "재정을 투입해 응급실 의료 인력을 최대한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현장에서 혼선이 빚어지고 있는 군의관, 공중보건의 파견에 대해서도 윤 대통령은 여전히 "최우선적 배치"를 강조했다.

아울러 윤 대통령은 국민에게 "경미한 증상의 경우에는 문을 연 가까운 병의원을 찾아달라"고 권했고, "보건복지부와 소방청은 지자체와 함께 추석 연휴 응급의료 대책에 만전을 기해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이날 윤 대통령의 발언에는 국회에서 먼저 논의를 시작한 '여당·야당·의료계·정부 협의체' 관련 언급이나, 의료계를 향한 대화 제안은 없었다. 의료 대란 사태 책임으로 야권에서 '경질론'이 불거진 복지부 장·차관을 향해서도 정책 주문만 할 뿐, 이들의 책임에 관해서는 말하지 않았다.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