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마침표 찍은 미국의 금융긴축, 집값 잡아야 우리도 움직일 수 있다

미국의 연방준비제도(Fed)가 4년 반 만에 기준 금리 인하를 단행했다. 코로나 팬데믹 종료와 공급망 교란에 따라 치솟은 물가를 잡기 위한 긴축 통화정책 기조에 마침표를 찍었다. 연준은 연방공개시장위원회를 열고 기준금리를 기존 5.25~5.50%에서 4.75~5.0%로 0.5% 포인트 내리기로 결정했다. 이른바 '빅컷'이다.

연준은 "인플레이션이 지속적으로 2%를 향해 가고 있다는 자신감"을 표시하면서 "고용과 인플레이션 목표에 대한 리스크는 대체로 균형을 이뤘다고 판단한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연준은 이번 발표에서 연내에 다시 한번 0.5%포인트의 금리 인하가 있을 것임을 강하게 시사했다. 물론 연준의 정책 전환이 미국 경기가 가파르게 냉각할 수 있다는 '경착륙' 시나리오에 힘을 실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미국 경제가 둔화되고 있는 건 분명하고, 통화정책 전환 과정에서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우려도 있기 때문이다.

다만 연준이 긴축정책에 마침표를 찍은 만큼 우리 금융당국이 금리를 인하할 수 있는 공간이 생긴 건 사실이다. 지금까지 한국과 미국의 금리 격차는 2.00%포인트로 역대 최대치였다. 당장 금리 격차가 1.50%포인트로 줄어들었고, 연말까지는 더 줄어들 수 있다. 국내의 고금리가 장기화하면서 소비 회복이 지연되고 내수 침체로 이어졌던 상황을 바꿀 여지가 있다는 의미다.

문제는 집값과 가계부채다. 금리를 낮추면 수도권 아파트 가격이 오르고, '영혼까지 끌어모아' 빚을 내 추격매수를 하려는 움직임이 생겨날 수 있다. 이미 지난 8월 가계대출 증가 규모는 8조2천억원으로 사상 최대였다. 지난 8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 "한은이 유동성을 과잉 공급함으로써 부동산 가격 상승 심리를 자극하는 실수를 범해서는 안 된다"고 밝힌 바 있다. 이런 상황은 전혀 바뀌지 않았다.

내수 부진과 고금리로 인한 서민의 고통은 다시 강조할 필요조차 없다. 금융 긴축이 완화되거나 방향전환을 해야 할 필요도 뚜렷하다. 그러나 그 전에 집값과 가계대출을 잡아야 한다. 최상목 부총리는 19일 "가계대출은 9월부터 시행된 정책효과 등이 가시화되면서 증가 폭이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는데, 이런 안이한 인식으로는 이도 저도 하지 못하는 상황에 내몰릴 수 있다. 정부가 통화당국에만 책임을 미루고 자신이 해야할 재정정책을 팽개치는 상황도 바뀌어야 한다. 내수 부진에 대한 긴급 처방으로 제기된 '25만원 민생지원금'을 백안시할 이유도 없다.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