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의 국민의힘 지도부 초청 만찬’ 분위기가 의료대란 등 현안에 대해 대화할 수 있는 분위기가 아니었다는 언론보도에 대해, 김재원 국민의힘 최고위원은 “대화는 충분히 할 수 있는 분위기였다”라고 밝혔다. 충분히 대화는 할 수 있었는데, 한동훈 대표를 비롯한 국민의힘 지도부 누구도 윤 대통령 앞에서 의료대란 등 민생 현안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김 최고위원은 25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한동훈 대표도 바로 대통령을 마주 보고 이야기를 꺼낼 기회는 충분히 있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윤 대통령은 국민의힘 신임 지도부를 지난 24일 용산 대통령실 앞 야외 분수정원으로 초청해 만찬을 함께했다. 만찬 음식으로는 소고기와 돼지고기가 나왔다. 하지만 의료대란 등 시급한 현안에 관한 대화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윤 대통령의 체코 방문 등 원전 이야기만 하다가 끝난 것으로 전해졌다. 술은 없었지만, 정말 고기만 먹으면서 만찬을 즐기는 자리가 된 것이다.
이에 만찬에 참석한 여당 관계자는 일부 언론에 “(한 대표가) 인사말을 할 기회조차 없어 민심을 전달하지도 못했다”라고 전했다. 만찬 분위기 자체가 민생 현안이나 김건희 여사 문제 등 논란이 되는 사안에 대해 대화할 수 있는 자리가 아니었다는 것이다.
그런데, 김 최고위원이 전한 만찬 분위기는 조금 달랐다.
“한 참석자가 전하기를 의료의 ‘의’자와 김건희의 ‘김’자도 안 나왔다고 하던데 맞느냐”는 진행자의 질문에, 김 최고위원은 “그 주제는 실제 대화가 없었다”면서도 다음과 같이 말했다.
김 최고위원은 “말도 못 하게 막는 분위기는 아니었다”라며 “대화를 충분히 할 수 있는 분위기였다”라고 말했다.
이어 “충분히 할 수 있는데 한 대표 스스로가 이 자리에서는 이야기하지 않겠다는 생각을 한 것 아닌가 그렇게 본다”면서 “우리 (신임 지도부) 출범을 축하하고 식사 한번 하자는 그런 정도의 자리였기 때문에 불편하게 만들지 않으려는 생각이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김 최고위원은 한 대표가 윤 대통령과의 독대를 요청한 사실을 홍철호 정무수석에게 직접 들었다고 밝혔다. 김 최고위원은 “대통령이 먼저 떠나고 한 대표가 제 바로 앞에서 정무수석한테 귓속말로 무슨 이야기를 한 10여 초 했다”면서 “나중에 만찬이 끝나고 독대 요청을 다시 했다는 보도가 나와서 정무수석에게 물었더니, 맞다고 하더라”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