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외국인 가사관리사’ 대상국가 확대 운운할 때 아니다

고용노동부와 서울시가 ‘외국인 가사관리사’ 대상국가를 필리핀에서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은 지난 3일 한 TV 프로그램에 출연해 해당 사업이 ‘성공적’이라 자평하며 대상국가를 확대 의견을 밝혔다. 오세훈 서울시장 역시 지난달 국정감사에서 동남아 국가들을 복수로 선정해 경쟁 체제를 도입하겠다는 구상을 언급한 바 있다. 외국인 가사관리사 제도는 저출생 정책의 일환으로 오 시장이 제안하고 정부가 함께 추진한 사업이다. 지난 9월 100명의 필리핀 가사관리사가 157가구에 투입된 데 이어 내년 1200명까지 규모를 늘리겠다는 게 노동부와 서울시의 입장이다.

‘외국인 가사관리사’ 제도는 시작 전부터 우려가 많았다. ‘최저임금 미적용’이라는 구상을 전제로 설계된 점, 제대로 된 보호장치나 지원시스템이 마련돼 있지 않은 점, 그리고 정부가 돌봄서비스를 영리화하려는 방향에서 이 사업이 추진되었다는 점 때문이다. 이는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차별을 금하고, 가사·돌봄노동의 가치 제고와 함께 공공성을 확대해가는 국제적 흐름과 완전히 동떨어진 발상이기도 하다.

문제는 이러한 우려가 모두 현실이 됐다는 것이다. 수요가 제대로 파악되지 않아 주 30시간 노동 자체가 불가능한 상황이 속출했고, 임금체불과 처우문제는 지금까지도 끊이지 않고 있다. 휴게공간이 없어 지하철에서 식사를 때웠다는 증언도 나왔다. 더 어이없는 건 서울시가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을 휴게실로 안내했다는 것이다. 사업 시작 두 달 만에 노동계만 아니라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중단’을 고려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이유다. 이런 상황에서도 해결책은커녕 성공적이라 자화자찬하며 대상국가 확대를 말하는 정부와 서울시를 보면 앞으로가 더 걱정이다. 현재 발생하는 문제들에 대해 어떤 것도 개선할 의지가 없어 보인다. 인력규모가 커지고 대상국가가 확대되면 문제는 더 커질 수밖에 없다.

외국인 노동자들을 값싸게 외주화하는 것은, 외국인 차별대우라는 문제를 넘어 돌봄과 여성노동의 가치를 평가절하 하고, 결과적으로는 양질의 돌봄서비스를 지속가능하지 못하도록 하는 요인이 될 것이다.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들에게 갈 수밖에 없으며, 이는 저출생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당초의 취지와도 정반대의 결과다. 지금은 대상국가 확대를 운운할 때가 아니라 사업 자체를 전면 재검토해야 할 때다. 무엇보다 돌봄의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돌봄을 상품이 아닌 권리로 보장한다는 인식 하에 민영화된 돌봄체계를 공공 중심으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