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조지호 청장은 강경진압 인정하고 사과해야

지난 9일 윤석열 대통령 퇴진 등을 요구하며 열린 도심 집회를 경찰이 강제진압하다 사회민주당 대표인 한창민 의원이 갈비뼈 골절 부상을 입었다. 사회민주당과 한 의원은 조지호 경찰청장에게 “경찰청장은 폭력 진압을 인정하고, 국민과 국회 앞에 사과하라”고 촉구했지만, 조지호 청장은 이를 거부했다.

조 청장은 지난 11일 경찰청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주말집회 강제진압과 관련한 기자들의 질문에 “통로를 개척한 게 강경진압이냐”고 되물으며 “동의하긴 어렵다”고 밝혔다. 경찰이 한 의원의 목덜미를 잡아 부상이 일어났다는 지적에 대해선 “이야기하면서 넘어지는 장면이 나오는데 그게 경찰의 물리력에 의해서 넘어졌다는 게 확인이 안 된다”며 부인했다. 결국, 조 청장은 강경진압으로 인해 구체적 피해가 발생했지만 이를 인정하지 않았고, 어떠한 사과도 하지 않았다.

사실 이런 경찰의 대응은 이미 예상된 것이었다. 윤석열 대통령은 집권 이후 줄곧 불법집회 엄정 대응을 주장하며 집회의 자유를 보장하기보다는 제약하겠다는 의사를 표시해왔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 5월 22일 국무회의에서 민주노총 집회를 공공질서를 무너뜨린 행위라고 비난하며 “경찰과 공무원들에 엄정한 법 집행을 당부”한 바 있다. 지난해 5월 25일엔 경찰의 ‘불법집회 해산 및 검거 훈련’이 25일 6년 만에 공식 재개된 바 있다. 아울러 경찰청은 노동절 집회 등을 앞두고 “불법집회에 엄정 대응하겠다”며 목소리를 높여왔다. 이는 집권 초기부터 낮은 지지율로 위기를 겪어온 윤 대통령이 분노한 민심을 막기 위한 궁여지책이다.

최근 윤 대통령을 둘러싼 여러 의혹이 꼬리에 꼬리를 물면서 지지율이 곤두박질치고 있다. 윤 대통령이 직접 나서 대국민 기자회견을 열고 민심을 달래려 했지만, 자기변명으로 일관하며 민심은 더욱 들끓고 있다. 이번 주말 집회는 그런 민심의 반영이다. 하지만, 윤 대통령은 민심을 따르기보다는 이런 민심에 ‘불법’이라는 딱지를 붙여 막으려 하고 있다. 11일 정례브리핑에서도 조 청장은 불법집회에 엄정 대응하겠다는 입장만 되풀이했다. 언제까지 경찰은 흔들리는 권력의 시녀를 자처할 것인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