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적반하장, 한국 ‘사도광산 추도식’ 불참에 “유감”

야스쿠니 신사 참배한 이쿠이나 정무관 파견에는 “문제 없었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 ⓒ뉴시스

일본 정부는 25일 ‘사도광산 추도식’에 한국 측이 불참한 데 대해 “유감”이라는 입장을 표했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은 이날 오전 기자회견에서 “한국 측이 추도식에 참석하지 않은 이유를 설명할 입장은 아니지만, 한국 측이 참가하지 않은 것은 유감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정부는 지역과 협력해 한국 정부와도 정중히 의사소통을 해왔다”고 덧붙였다.

그는 A급 전범이 합사된 야스쿠니 신사 참배 이력이 있는 이쿠이나 아키코 정무관을 추도식에 파견한 데 대해 “종합적 판단을 통해 외무성에서 홍보·문화와 아시아·태평양 정세를 담당하는 이쿠이나 정무관 참석을 결정했다”며 “문제는 없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하야시 장관은 이쿠이나 정무관이 참의원 당선 직후인 2022년 8월 15일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했다는 보도에 대해 “취임 이후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했다는 사실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한국 측에는 사실관계를 설명했다”고 말했다.

‘한국 측 불참 결정이 사실 오인에 근거한 것으로 판단하냐’는 질문에는 “우리가 언급할 입장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추도식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정식 명칭이 추도의 대상이 불분명한 ‘사도광산 추도식’으로 정해지는가 하면, 숙소·항공편 등 소요 예산을 전부 한국 정부가 부담하기로 하는 등 한국 정부는 일본 측에 끌려가는 식의 협의를 해왔다.

특히 한국 정부가 일본 정부 참석 인사로 차관급 이상 고위급을 요구하자, 일본 측은 2년 전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한 이력이 있는 이쿠이나 아키코 정무관을 파견하겠다고 통보했다. 이에 따른 후폭풍을 우려한 한국 정부는 23일 추도식 불참을 결정했고, 결국 24일 추도식은 일본 측 인원들만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이쿠이나 정무관은 추도사에서 “광산 노동자 중에는 1940년대 우리나라(일본)가 전쟁 중에 노동자에 관한 정책에 기초에 한반도에서 온 많은 분이 포함돼 있었다”며 조선인 노동자 파견의 합법성을 부각하기까지 했다.

한국 정부와 강제동원 피해자 유족들은 25일 오전 사도섬 조선인 기숙사 터에서 별도 추도식을 열었다.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