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바 ‘경제 허리’로 불리는 40대 가구의 3분기 사업소득이 통계를 집계한 이래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지난달 28일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3분기 가구주 연령이 40대인 가구의 월 평균 사업소득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무려 13.1%나 폭락한 107만 4,000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1인 이상 가구를 대상으로 가계 동향 통계를 집계한 2006년 이후 가장 큰 낙폭이다.
40대가 아닌 전체 연령대를 봐도 사업소득의 부진은 도드라진다. 3분기 전체 월평균 가계 사업소득은 1년 전보다 고작 0.3% 증가한 98만 7,000원으로 나타났다. 물가 상승을 고려하면 실질소득은 마이너스다.
이유는 분명하다. 윤석열 정권 들어 이어진 내수 부진이 자영업을 덮쳤고, 그 한파가 자영업 비중이 높은 40대 가구를 직격했기 때문이다. 문제는 40대가 자녀를 양육하고 부모 생계를 보조하는 우리나라의 핵심 경제 연령대라는 데 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된다면 국가 시스템의 뿌리가 흔들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우리나라 40대 자영업자 숫자는 115만 2,000명으로 전체 자영업자(563만 명)의 20%에 육박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장기적으로는 국민들의 소득을 늘려나가야 한다. 하지만 이런 장기적 대책만으로는 현 상황을 해결하기에 충분치 않다. 당장 가구의 생계가 경각에 달린 자영업자들이 한 둘이 아니기 때문이다.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이야기인데 민생회복지원금 외에 이 난국을 타개할 묘수가 보이지 않는다. 보편적 지급이 바람직하겠지만 정치적 합의가 어렵다면 선별적 지급도 고려해야 한다. 그만큼 자영업자들의 상황이 최악이다. 정치가 자영업자들의 고통을 더 이상 외면해서는 안 되는 비상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