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는 4일 비상계엄 선포 후 해제 사태와 관련, 금융감독원과 금융보안원 등에 '금융전산분야 비상대응체계 강화 협조 요청' 공문을 배포했다고 밝혔다.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와 해제 사태로 인해 금융시장에 불안감이 확산되는 가운데 혹시 있을지 모를 금융권 보안사고에 대한 대비를 강화하기 위한 조치다.
앞서 김 위원장은 이날 금융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금융시장 변동성이 큰 상황에서는 작은 사고나 사건도 시장에 불안을 증폭시킬 수 있는 만큼 각종 금융사고나 해킹·정보유출 등 보안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내부통제 시스템을 체크해달라"고 금융협회 등에 주문한 바 있다.
김 위원장은 "특히 금융보안원은 금융시스템에 보안 사각지대가 없도록 전 금융권의 전산 보안체계에 대한 일제 점검을 실시해 주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날 회의에서 김 위원장은 비상계엄 해제 후 외환시장 및 해외한국주식물 시장은 점차 안정된 모습을 찾아가고 있는 상황이라고 언급하면서도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우려가 있다"며 "금융시장의 불안 확산을 방지하고 금융시장이 정상적,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가능한 모든 조치를 취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금융당국은 비상계엄 선포 후 해제 사태와 관련 당분간 주식·채권·단기자금·외화자금시장이 완전히 정상화될 때까지 유동성을 무제한으로 공급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김 위원장은 "채권시장·자금시장은 총 40조원 규모의 채권시장 안정펀드와 회사채·CP 매입 프로그램을 최대한 가동해 안정을 유지할 것"이라며 "금융회사의 외환건전성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증권금융을 통한 외화유동성 공급 등으로 환율 상승에 따른 마진콜 위험에도 대응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