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교수들의 시국선언에 학생들이 화답하고 나섰다. 교수, 연구자들의 시국선언은 지난 10월 28일 가천대를 시작으로 한국외대, 고려대, 한양대, 숙명여대와 경희대, 국민대, 중앙대, 전남대, 충남대, 안동대, 경북대, 연세대, 동국대, 이화여대, 서울대 등에서 발표됐다. 지난 2일에는 고려대 학생들의 시국선언도 시작됐다. 윤 대통령을 규탄하는 교수 시국선언이 발표된 지 2주 만이다.
고려대 학생들은 "침묵을 깨고 함께 외칩니다"라는 제목으로 윤석열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했다. 이날 시국선언에 연명한 학생수는 270명에 달한다. 다음날인 3일에는 경북대 학생 190명의 시국선언이 이어졌다.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하고 국회가 이를 해제한 4일에는 목소리가 더 커졌다. 서울대 총학생회는 "비상계엄 선포는 대한민국의 자유민주 헌정 질서를 짓밟는 행위"라며 5일 전체 학생총회를 예고했고 고려대, 서강대, 연세대 총학생회장들도 시국과 관련한 대응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동국대 학생 108명은 시국선언을 발표하고 정권 퇴진을 촉구했고, 이화여대, 건국대, 숙명여대, 홍익대 학생들도 시국선언 발표를 예정하고 있어 대학생 시국선언은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윤 대통령의 내란 기도에 정치권은 후속 대응을 준비하고 있다. 야당은 탄핵안을 발의했고 여당 정치인 일부도 가담할 것으로 보인다. 보수 언론의 논조도 심상치 않다. 그러나 결국 역사의 물줄기를 바로잡는 건 민중의 말과 행동이다. 거리에서의 압력이 없다면 윤 대통령은 버티기에 들어갈 것이고, 여당은 정파적 이해를 앞세워 윤 대통령을 추종할 것이 분명하다. 이런 상황을 바꾸는 유일한 방법은 민중의 직접 행동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