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고등학생이 이만희 국민의힘 의원 지역 사무실에 “내란 수괴범에 동조한 당신”이라는 항의성 쪽지를 붙였다는 이유로 경찰수사까지 받는 촌극이 벌어졌다. 경북 영천 경찰은 해당 고등학생을 찾기 위해 지문까지 분석했다.
경찰에 재물손괴 혐의로 A 양을 신고한 이는 이 의원 사무실 관계자였다.
경찰 고위 간부 출신 이만희 의원(경북 영천시청도군)은 지난 7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에 불참하여 표결을 무산시킨 의원 중 한 명이다. 당일 국민의힘은 국회 본회의장에서 표결이 진행 중인데도 의원총회를 열고 서로를 감시하며 탄핵안 표결에 불참했다.
고등학생 A 양이 친구와 함께 경북 영천 소재 이만희 의원 사무실 앞 국민의힘 명패에 “내란 수괴범에 동조한 당신 국민의 편은 누가 들어줍니까?”라고 적힌 포스트잇을 붙인 날은 지난 7일. A 양은 언론에 본드 등 제거가 어려운 접착물을 사용하지 않고 셀로판 테이프를 사용해 붙였다고 전했다.
그런데 이틀 뒤, A 양은 영천경찰서로부터 전화를 받았다. 지문으로 A 양을 특정해 전화했다는 경찰관의 전화였다고 한다.
범죄 혐의가 명확하지 않은데, 지문 분석으로 신원까지 특정해 고등학생을 소환한 것이다.
결국, A 양은 부모와 함께 경찰에 불려갔다.
이에 정치권 등에서는 “입틀막 시즌 2”라는 비판이 나왔다.
더불어민주당 서울특별시당 청년위원회는 10일 “한 고등학생이 이만희 의원 지역 사무소에 남긴 포스트잇 항의가 경찰 신고로 이어졌다는 소식은 민주주의와 표현의 자유를 심각히 훼손하는 사례가 아닐 수 없다”며 “헌법이 부여한 국민의 대표로서의 책임을 방기한 채 본인에게 책임을 묻는 학생의 용기 있는 메시지는 경찰력을 동원해 ‘입틀막’을 할 만큼 부당한 것인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김보협 조국혁신당 수석대변인도 같은 날 “학생들의 의사 표시에 어떤 범죄 혐의가 있나”라며, 지문 조사까지 벌인 경북 영천 경찰에 “미쳤나”라고 비판했다. 이어 “해당 사무소 관계자가 ‘재물손괴’ 혐의로 신고를 했다는데, 경찰은 그 관계자에게 어떤 재물이 어떤 손괴를 입었는지부터 조사했어야 한다”라며 “포스티잇은 떼면 그만이고, 붙인 흔적이 남지도 않는다. 차라리 바른 소리에 얻어맞아 정신적 피해가 심각하다고 하면 미친 소리일지 언정 말은 됐을 것”이라고 일갈했다.
진보당도 “정의로운 청소년을 함께 지켜 달라”, “정의로운 정치활동을 탄압하는 영천경찰서에 항의의 목소리를 전해달라”면서 SNS에 경북 영천경찰서 담당과 전화번호를 공유했다.
한편, 경북경찰청은 11일 이만희 의원 사무실 벽에 포스트잇을 붙인 A 양에 대해 ‘혐의없음’으로 종결 처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